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투전뒤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기타유희요 > 내기놀이 > 곱새치기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곱새치기노래-투전뒤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전유배, 김덕봉, 운용태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전유배, 김덕봉, 운용태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투전뒤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유배, 김덕봉, 운용태가 참여하였다. 곱새치기는 주로 초상집에서 밤을 샐 때 투전을 가지고 하는 노름의 한가지다. 내놓는 투전의 숫자에 맞는 노래를 하면 다른 사람들이 투전패를 보지 않고도 알 수 있다. 놀음 보다는 풍류적인 면이 강하여 “돈 잃고도 웃는 양반놀음”이라 한다. 초상집에서 할 때에는 4자를 빼고 하기도 한다. |
가사 | 자 무슨 자를 내야 산단 말이냐
뜨구 불구 떨구 내리면 일자로다 일어나거라 다 밝았다 오경 밤중에 닭이 울었구나 그러허이면 무슨 자를 내야 산단 말이냐 앉구 떨구 백년승이다 백년스물 불렀는데 내구 떨구 이야차 줄만 다려라 이단충이면 함흥땅 차나려를 간다 그리면 무슨 자를 내야 산단 말이냐 그대 불림 잘못 냈구나 장에 갈 길 거쳐 가거라 장터 거리에는 큰 솔재에 그러하이건 오경마를 비껴타고 승인 선생 찾아가누나 내구 떨구 이야차 줄만 다려라 안응대풍에 점을 참자 나려를 간다 그리면 무슨 자를 내야 산단 말이냐 삼해용간 김응서 내려를 간다 삼월이 둘이면 윤삼월을 불렸는데 내구 떨구 무얼 내야 산단 말이냐 그대 불림 잘못 냈네 이단층 함흥땅 내려를 간다 그리면 무슨 자를 내야 산단 말이냐 귀뚤새 울구 동이 텄구려 내구 떨구 무얼 내야 산단 말이냐 칠월 높새 베1) 죽는다 아니요 무슨 자 일월이 중천금일라2) 삼낭게 연이 걸렸구나 내구 떨구 무얼 내야 산단 말이냐 오춘댁이면 당숙모 나려를 간다 아니 그리고 무슨 자를 떨어야 산단 말이냐 이눔의 노인 경술년을 불렀구나 대육을 내야 육로로 통한 길일다 오염산하에 백화 촌자 나려를 간다 그리면 어떤 자를 떨어야 산단 말이냐 삼천 바다 결이3) 굵었구려 내구 떨구 이야차 줄만 달려라 이에 불림 잘못 냈소 안기면 장난이 설렁 끓었네 육날 미투리4) 감발신을5) 불렀는데 내구 떨구 무얼 내야 산단 말이냐 칠년이 일년이구 구가구 칠년이 백팔이롤세 국이 끓구 밥내 나누나 내구 떨구 이야차 줄만 다려라 다 밝았다 일어 나거라 국이 끓고 밥내 나는구나 이 삼우러이 둘이면 윤삼월을 불렀는데 내구 떨구 이야차 줄만 다려라 그대 불림 잘못 냈소 유월 갈 곳 은근히 나려를 간다 그리고 무슨 자를 떨어야 산단 말이야 사천 곡석6) 너만 석을 불렀는데 내구 떨구 삼남게 연이 걸렸네 아덕매치에 굴려 걸구 신의에 바랄가니 나의 낼 자 바이 없어 못 살갔네 1) 베 : 벼. 2) 일월이 중천금일라 : 일언이 중천금일라. 3) 결 : 물결. 4) 육날 미투리 : 날이 여섯인 미투리. 5) 감발 : 발감개. 6) 곡석 : 곡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