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용인군 원삼면 사암리 중리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태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태희 |
지역개관 | 경기도 용인군 원삼면 사암리 중리의 본래 이름은 중말인데 사암리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구수는 30여 가구 되며 그 중 농사를 짓는 집이 22호, 나머지는 목장을 하거나 돼지 사육을 하며 서울로 출퇴근하는 집도 있다. 옆 마을인 용담까지 걸어나가야 버스가 있어서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그전에는 양씨가 많이 살았는데 지금은 한 집도 남아 있지 않다. 종교는 다양하며 특별한 민속놀이는 남아 있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6월 30일에 경기도 용인시(용인군) 원삼면 사암리 중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태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논을 세 번 매는데 각기 아시, 이듬, 세벌이라고 부른다. 아시 때는 호미로, 이듬과 세벌은 손으로 맨다. 이 노래는 아시논매기 때 부르는데 찍었네야라고도 한다. 이듬과 세벌 때는 곯었네를 부른다. |
가사 |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화란춘성 만화방천1) 오홈차 찍었네야 때는 좋다 벗님들아 오홈차 찍었네야 산천경개 구경을 가세 오홈차 찍었네야 노세노세 젊어서 노세 오홈차 찍었네야 늙고 병들면 못노느니 오홈차 찍었네야 명사십리 해당화야 오홈차 찍었네야 꽃이 진다고 설워를 말어라 오홈차 찍었네야 내년 춘삼월에 다시 오네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사람마다 벼슬을 하이면 오홈차 찍었네야 농부 될 사람 어디 있나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의사마다 병 곤친다면은 오홈차 찍었네야 북망산천이 왜 생겼나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아들을 나면 효자를 낳고 오홈차 찍었네야 딸을 나거든 열녀를 낳아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함경도라 백두산은 오홈차 찍었네야 두만강이 둘러 있고 오홈차 찍었네야 황해도라 구월산은 오홈차 찍었네야 황해 바다가 둘러 있네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강원도라 금강산은 오홈차 찍었네야 동해 바닥 둘러 있고 오홈차 찍었네야 충청도라 계룡산은 오홈차 찍었네야 공주 금강이 둘러 있네 오홈차 찍었네야 전라도라 지리산은 오홈차 찍었네야 낙동강이 둘러 있고 오홈차 찍었네야 제주도라 한라산은 오홈차 찍었네야 제주 바다가 둘러 있네 오홈차 찍었네야 경기도로 쑥 올라서 오홈차 찍었네야 경기도라 삼각산은 오홈차 찍었네야 한강이 둘러 있네 오홈차 찍었네야 한강이 둘른 끝에 오홈차 찍었네야 한양에 도읍이 생겼구나 오홈차 찍었네야 도읍이 생긴 끝에 오홈차 찍었네야 경기도 용인군이 생겼구나 오홈차 찍었네야 용인군이 생긴 끝에 오홈차 찍었네야 원산면이 되었구나 오홈차 찍었네야 원산면이 생긴 끝에 오홈차 찍었네야 사암리 칠리 생겨 났네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오홈차 찍었네야 1) 화란춘성 만화방창 : 화란춘성 만화방창(花爛春城 萬化方暢). 화란춘성은 꽃이 활짝 핀 아름다운 봄 경치를, 만화방창은 온갖 생물이 한창 피어나 자람을 일컬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