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둘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용인군 남사면 아곡리의 논매는소리-둘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영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권영우 |
지역개관 | 경기도 용인군 남사면 아곡리의 옛지명은 앞골인데 예전에 고을터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가구수는 70여 호 되며 비닐하우스를 조그하고 나머지는 대부분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다. 하루에 10번 다니는 오산가는 버스를 타려면 1리 까지 걸어나가야 하기 때문에 교통이 불편하고 차비도 비싸다. 안동 권씨가 대성이다. 해방 후부터 사람들이 교회에 다니기 시작하여 마을 사람의 2/3가 교회에 다니고 있으며, 산제가 있었는데 지그은 사라졌다. 특별한 민속놀이는 없고 농한기에는 화투를 즐겨 친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1일에 경기도 용인시(용인군) 남사읍(남사면) 아곡리에서 채집한 둘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영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논을 세 번 매는데 처음 두 번은 호미로 매고 마지막 세 번째는 손을 휘휘 두르면서 풀을 뽑는다. 세벌 논매는 것을 훔친다고 했으며 이때 두울레소리를 했다. 가창자는 이 사설을 책에서 보고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원문에 월흑하니1) 수운이 적막하다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가련하다 초패왕은 초를 장차 잃단 말가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역발산도 쓸 데 없고 기가세두2) 하릴 없네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가련하다 초패왕은 초를 장차 잃단 말가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역발산도 쓸 데 없고 기가세두 하릴 없네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칼을 짚고 일어나니 사해면이 초가로다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우혜우혜 내약하고3) 낸들 너를 어이 하리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우혜우혜 내약하고 낸들 너를 어이 하리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삼부에4) 주저하고 옥구봉에 채읍하니5)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삼군이6) 흩어지고 마음이 산란하다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평상에7) 원하기를 금고를8) 울리면서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강동으로 가잤더니 불의에 패망하니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어찌 다시 낯을 들고 부모님을 다시 보며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처간 사람 어이 보리 백대 영웅 호걸들아 둘레 달레 둘레요 어하 슬슬 둘러라 1) 원문에 월흑하니 : 원문(轅門)은 군영이나 진영의 문. 월흑(月黑)은 달이 어두음을 일컬음. 이 구절 이후 사설 대부분이 초한가(楚漢歌)에 나온다. 2) 기가세 : 기개세(氣蓋世). 기운이 세상을 덮어 씌움. 3) 우혜우혜 내약하(虞兮虞兮 柰若何) : 항우가 우미인과 이별하는 장면에서 우미인을 부르며 “낸들 너를 어찌 하리”라고 탄식한 말. 4) 삼부에 : 삼보(三步)에. 5) 옥구봉에 체읍하니 : 오보(五步)에 체읍(涕泣)하니. 6) 삼군(三軍) : 전체의 군대, 전군(全軍). 7) 평상 : 평생(平生). 8) 금고(金鼓) : 군대에서 지휘하던 신호로 쓰던 징과 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