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이천군 대월면 군량리의 논매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병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병익 |
지역개관 | 경기도 이천군 대월면 군량리는 군량 1, 2, 3리 합쳐서 아랫군들이라 부르고 모가면 양평리를 웃군들이라고 부른다. 옛날부터 군량이라고 불렀는데 왜 그렇게 불렸는지는 모른다. 군량 1리는 가구수 90여 호 된다. 자채벼 생산과 자채 농요로 유명한 마을로서 마을 사람 대부분이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다. 논농사와 겸하여 과수를 하는 집과 축산을 하는 집이 각각 10여호 씩 된다. 순천 김씨 집성촌으로서 김씨가 60여 가구 살고 있으며 교통편은 이천에서 오는 버스가 하루에 7번 있어 그다지 불편하지 않은 편이다. 민속놀이로는 거북놀이가 있었으나 40년전쯤에 사라지고 정월 보름에 행해지는 줄다리기, 그네, 윳놀이 등만 남아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6월 22일에 경기도 이천시(이천군) 대월면 군량리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병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자채벼 논을 매면서 불렀다고 해서 자채벼 논매는 소리라고도 한다. 자채벼는 올벼의 하나로 맛이 좋다. 자채벼 논은 개흙이어서 말랑말랑하기 때문에 논을 맬 때 세 번 모두 호미를 쓰지 않고 손으로 훔친다. 따라서 논매는 소리도 한 가지다. 선소리꾼이 뒷소리의 마지막 부분인 어러리야를 함께 부르고 선소리를 메기는 점이 특이하다. 잔가락이 많고 순차진행을 하는 전형적인 메나리조의 노래이다. 받는 소리의 종지음은 미(G음)이다. |
가사 | 세월아 네월아 오고 가질 마라
장안에 호걸이 다 늙는다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장안에 호걸은 늙거나 말거나 우리네 부모님은 늙지를 마소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시어머니 낯짝도 뻔뻔하지 저 잘난 걸 낳아 놓고서 날 데려왔네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한간 물은 돌고 돌아서 서해바다로 가고 이 몸은 돌고돌아 어데로 가나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세간살이는 알뜰하면은 내 살림이 되나 있는 대로 톡톡 털어서 술 사먹지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홍당목1) 치마는 붉어서나 좋고 백항라2) 속곳은 놀러서 좋헤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홍당목 치마가 열두 친데 부시쌈이3) 깁는 대로 다 나갔네4)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아리랑 타령을 마쟀더니 신의 몸 같아서 또 하겠네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황해도 봉산은 인심이 좋아 노랑동전 한 푼에 큰애기를 주네. 아리랑 아리랑 어러리에이 어리랑 에헤어흥 어러리야 1) 홍당목 : 붉은 당목, 당목은 면직물의 한 가지. 2) 백항라 : 흰 항라. 항라는 명주, 모시, 무명실 따위로 짠 피륙으로 구멍이 송송 뚫어져 여름 옷감으로 적합함. 3) 부시쌈 : 담배도 넣고 부싯돌도 넣어서 주머니 속에 지니는 작은 쌈지. 4) 홍당목 치마~다 나갔네 : 시집올 때 해온 홍당목 치마가 남정네들 부시쌈 기워주는 데로 다 나갔다는 뜻으로 여인의 바람기를 말하는 표현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