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이천군 율면 고당리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영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영하 |
지역개관 | 경기도 이천군 율면 고당리의 율면이라는 지명은, 고부간의 불화가 잦은 가정에서 남편이 아내에게 밤 세톨만 구워서 100일동안 날마다 어머니께 드리면 돌아가시게 된다고 하여 며느리가 날마다 그 시킨대로 하다가 100일이 못되어서 시어머니와 화해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율면에서 제일 큰 마을이라 큰말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98가구가 살고 있으며 이중 농가가 80호, 벼농가가 18호로서 상업을 하거나 가축을 키우고 있다. 고령 박씨가 40여 호로 대성이며 교통은 율면으로 들어오는 버스가 하루에 여섯 번 있고 서울까지 1시간 40분밖에 걸리지 않아 편리한 편이다. 월포리 근처에 있는 임오산 주령이 여기에 뭉쳐 3년에 한 번씩 좋은 날을 가려 잡아 밤 12시에 돼지 잡아 놓고 산신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6월 24일에 경기도 이천시(이천군) 율면 고당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영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승달구지라는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이 마을의 달구소리는 일곱 가지 가락으로 교체되는 것이 특징이며 가락마다 동작이 달라진다. 조선조 안동 김씨로 영의정을 지낸 김병기라는 사람의 달고소리라고 전해져 내려오며 김병기의 묘가 아직도 근처에 있다. |
가사 | 에헤에헤 에헤이 오호아
오호호호 오호이 오하 홀연히 생각하니 도시 몽중이로다1) 오호호호 오호이 오하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저승길을 나는 간다 오호호호 오호이 오하 이제 가면은 언제나 오나 너의 올 길이 막연하다 오호호호 오호이 오하 윤동짇달 초하룻날 꽃이 피면은 오시련가 오호호호 오호이 오하 뒷동산에다 군밤을 묻어 싹이 트면은 오시련가 오호호호 오호이 오하 에헤소리도 그만큼 하고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가요 오호호호 오호이 오하 에이여라 달고 오호호 호야 호야 천만고 영웅호걸 오호호 호야 호야 북망산 무덤이요 오호호 호야 호야 부귀문장 쓸 데 없다 오호호 호야 호야 황천객을 면할손가 오호호 호야 호야 달고소리도 그만큼 하고 오호호 호야 호야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가요 오호호 호야 호야 오호호 호야 호야 오호호 호야 호야 산지조종은 곤륜산이요 오호호 호야 호야 수지조종은 황하수라2) 오호호 호야 호야 함경도라 백두산은 오호호 호야 호야 압록강이나 둘러있고 오호호 호야 호야 오하소리도 그 만큼하고 오호호 호야 호야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간다 오호호 호야 호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뒷소릴랑은 고함을 질러 어럴럴럴 상사디야 이 산천이 울리도록 어럴럴럴 상사디야 우렁우렁 하여를 주소 어럴럴럴 상사디야 정월이라 대보름은 어럴럴럴 상사디야 단교하는3) 명절이라 어럴럴럴 상사디야 어럴럴소리도 그 만큼하고 어럴럴럴 상사디야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간다 어럴럴럴 상사디야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세상천지 만물중에 사람밖에 또 있는가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이 세상에 나온 사람 뉘 덕으로 나왔는가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석가여래 공덕으로 아버님전 뼈를 빌고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아적 나절 성튼 몸이 저녁나절 병이 들어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섬섬약질 가는 몸에 태산 같은 병이드니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부르나니 어머니요 찾는 것이 냉수로다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오호하소리도 그 만큼하고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간다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닐리리 호하 호하 닐리리 호하 호하 여보시오 군중님네 닐리리 호하 호하 이내 말쌈 들어보소 닐리리 호하 호하 착한 일을 보거들랑 닐리리 호하 호하 고양이가 쥐 잡듯이 닐리리 호하 호하 목마른 이 물 찾듯이 닐리리 호하 호하 배고픈 이 밥 찾듯이 닐리리 호하 호하 착한 일을 하고 보면 닐리리 호하 호하 아미타불 이 아니며 닐리리 호하 호하 석가여래 이 아닌가 닐리리 호하 호하 닐리리소리도 그만큼 하고 닐리리 호하 호하 또 다음 소리도 넘어를 간다 닐리리 호하 호하 오호야 호야 호야 오호야 호야 호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 오호야 호야 호야 녹두밭에야 앉지를 마라 오호야 호야 호야 녹도꽃이야 떨어를 지면 오호야 호야 호야 청포 장사가 울고를 간다 오호야 호야 호야 (다함께)어허이 1) 몽중(夢中) : 꿈 속. 2) 산지조종~황하수라 : 산지조종(山之祖宗)은 곤륜산(崑崙山)이요 수지조종(水之祖宗)은 황하수(黃河水)라. 3) 단교 : 답교(踏橋). 다리밟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