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대허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이천군 설성면 신필2리의 논매는소리-대허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방인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방인석 |
지역개관 | 경기도 이천군 설성면 신필2리는 1리와 2리로 나뉘어 있는데 1리인 추동(楸洞)마을은 가래 나무가 많아 가래울이라 불리고 2리인 세필(細筆)은 세붓이라고 불린다. 마을은 설성산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현재의 지명은 설성(雪星)이나 예전에는 설성(雪城)이라고 하며 후삼국 시대에 성을 쌓으려고 마련해 둔 자리에 서리가 쌓여 있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예전에는 1, 2리 합쳐서 130여 호 되는 큰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80여 호에 지나지 않는다. 농사는 벼농사 위주이나 1리에서는 고추와 담배를 재배하고 있으며 2리에는 양축업자가 많아 닭, 소, 돼지 등을 사육하는 집이 12가구 정도 된다. 1리에는 경주 김씨가 대성이었는데 지금은 거의 다 타지로 나갔고 2리는 진주 강씨가 대성이었는데 지금 6가구 정도만 남아 있다. 버스는 장호원으로 가는 버스가 하루에 5번씩 있다. 1리에서는 정월 보름에 줄을 안다리면 재앙이 있다 해서 남녀를 갈라서 줄다리기를 했으나 6.25이후에 사라졌고, 2리에도 장사들이 많아 씨름이 유명했으나 6.25를 기점으로 사라졌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6월 25일에 경기도 이천시(이천군) 설성면 신필2리에서 채집한 대허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방인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현지에서 김매기노래라고만 부르는데 초벌맬 때 호미로 피를 파면서 하는 소리이다. 두벌과 세벌 논맬 때는 곯았네소리를 한다. 끝날 때 즈음에는 이어-, 히호호, 끄르르륵하는 등의 젙소리(일종의 추임새)가 들어가야 한다고 한다. 이천군의 다른 민요와 같이 메나리권의 영향이 보인다. |
가사 | 어헐씬 대허리야1)
어헐씬 대허리야 대허리하는 농부님네 어헐싸 대허리야 이내 한 말 들어보소 어헐싸 대허리야 하나 둘이 하드래도 어헐싸 대허리야 열 스물이 하는 듯이 어헐싸 대허리야 한데 사람은 보기만 좋고 어헐싸 대허리야 곁의 사람은 듣기만 좋게 어헐싸 대허리야 삼동허리를 거닐면서2) 어헐싸 대허리야 해허리 단참 얼릉 매고3) 어헐싸 대허리야 그 웃배미로 넘어를 가세 어헐싸 대허리야 이팔청춘 소년들아 어헐싸 대허리야 백발 보구서 웃지를 마소 어헐싸 대허리야 엊그저께 청춘 몸이 어헐싸 대허리야 오늘날로 백발이 되야 어헐싸 대허리야 가는 청춘 못 당하고 어헐싸 대허리야 홍안백발이 원수로구나4) 어헐싸 대허리야 어헐싸 대허리야 어헐싸 대허리야 하하 하는 군중님들 어헐싸 대허리야 대허리 소리에 춤을 추면 어헐싸 대허리야 들고 나고 매고 스고 어헐싸 대허리야 일심협력 하여를 주소 어헐싸 대허리야 항상에 누른 잎은 어헐싸 대허리야 동지 섣달 오는구나 어헐싸 대허리야 낙엽이 우수수 지고나니 어헐싸 대허리야 단칼 삼봉5) 우뚝 서서 어헐싸 대허리야 동삼 석 달 춤을 시듯 어헐싸 대허리야 천지 고고요요로구나 어헐싸 대허리야 어헐씬 대허리야 어헐싸 대허리야 어서 놀아 젊어서 놀아 어헐싸 대허리야 늙고 병들면 못 노나니 어헐싸 대허리야 이팔청춘 젊은 시절 어헐싸 대허리야 희희락락 놀아보세 어헐싸 대허리야 어헐씬 대허리야 어헐싸 대허리야 1) 대허리 : 가창자는 이것이 대홀이며 호미로 크게 뜨라는 뜻이라고 한다, 2) 삼동허리를 거닐면서 : 허리를 구부정하게 굽히고 걸으면서. 3) 해허리~매고 : 허리를 펴지 않고 한번에 얼른 매고, 해허리는 한 허리를 말하는 듯. 4) 홍안백발(紅顔白髮) : 나이는 들어 머리는 세었으나 얼굴은 불고 윤기가 돈다는 말. 5) 삼봉 : 상봉(上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