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파주군 월롱면 능산리의 논매는소리-방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중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중기 |
지역개관 | 경기도 파주군 월롱면 능산리는 삼한 시대에 이 일대 국가에서 월롱이라는 유명한 장군이 살았다 해서 월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다. 능골이라는 이름은 능 자리를 잡으려다가 100골이 못 되고 99골이 되어 폐하고 다른 곳에 섰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내력이 전해져 오는데 능을 논의한 자리라는 국사봉이 실제로 이 마을 북쪽에 있다. 가구수는 50여 가구 되며 강릉 김씨 집성촌으로 강릉 김씨가 40여 가구 되는데 6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문산서 오는 버스가 하루에 3번 있는데 그것도 월롱까지만 운행되어 교통편은 매우 불편하다. 국사봉에 3년이 못되어 변사가 생기면 3년을 무시하고 다시 시작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4일에 경기도 파주시(파주군) 월롱면 능산리에서 채집한 방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중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노래를 계속 받으면 힘이 들므로 우측과 좌측이 번갈아 가면서 소리를 받기도 하는데 이때 선소리 하는 사람은 가운데 선다. |
가사 | 네헤 네 헤에요 네이헤에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이 에헤요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노자 좋구나 간 데 족족 정들여 놓고 이별이 잦어서 에루화 못 사리라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노자 좋구나 정월 허구두 대보름날엔 답교 (踏橋 )허시는 에루화 명절이로다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노자 좋구나 청춘남녀 (靑春男女 ) 짝을 지어서 양양삼삼 (兩兩三三 )이 에루화 다니건마는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노자 좋구나 우리두 벗님은 어디를 가고 답교 (踏橋 )가자는 에루화 말쌈이 없나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노자 좋구려 이월하고도 한식절 (寒食節 )은야 개자추 (介子推 )에도1) 에루화 넋이로구나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노자 좋구나 삼월하고도 삼짇날은야 제비두 옛집을 에루화 찾아오고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노자 좋구려 천공 하늘에 기러기도 제 집을 찾어서 에루화 가건마는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노자 좋구려 우리 낭군 (郞君 )은 어디를 가고 집 찾아 올줄을 에루화 나 모르나 에 헤 에헤요 에헤헤 에헤야 에야 에헤야 에헤에요 401) 개자추(介子推) : 중국 춘추시대의 은사. 진(晉)의 문공(文公)이 공자(公子)로서 망명한 19년 동안 모셨는데 문공이 귀국 후에 봉록을 주지 않으므로 면산에 숨었음. 문공이 잘못을 뉘우치고 개자추가 나오도록 산에 불을 질렀으나 나오지 않고 타 죽음. 한식은 개자추가 죽은 날로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찬 음식을 먹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