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얼카덩어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택군 포승면 방림리의 논매는소리-얼카덩어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민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민조 |
지역개관 | 경기도 평택군 포승면 방림리는 근처에 딱다구리산이라고 불리는 대덕산이 있는데 그 산이 화살촉 모양으로 생겼다 해서 3리는 아랫살치미라고 불리며 2리는 윗살치미라고 불린다. 아래 위살치미 모두 합치면 50여가구 되면 3리만은 가구수가 25호 정도 된다. 마을 사람 거의가 농사를 짓고 있으며 버섯과 비닐 하우스를 겸하는 집이 몇 집 있다. 겨울에는 근처 공장에 일을 나가기도 한다. 함평 이씨가 대성이고 예전부터 농악이 유명한 마을이었다. 평택시로 나가는 버스는 하루에 다섯 번 있다. 3년에 한 번씩 위 아래 살치미 사람들이 모여서 대덕산에 성황제사를 지내는데 이 때에는 나갔던 사람들도 모두 참석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22일에 경기도 평택시(평택군)포승읍(포승면) 방림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민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밭을 맬 때 네벌까지 맨다. 애벌과 두벌은 호미로 피를 찍고, 세벌은 손으로 뜯으며 네벌 역시 손으로 논을 훔쳐 준다. 이 노래는 초벌논 맬 때 부르는 소리이다. 간단한 선율을 짧게 단락지워서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가 반복된다. 단순노동에 적합한 노래이다. |
가사 |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삼단 허리를 얼카덩어리 주축여가면서1) 얼카덩어리 높은 델 떠가주구 얼카덩어리 짚은 데다 집어넣고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한 허리 단참에2) 얼카덩어리 나가를 봅시다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우리의 인생은 얼카덩어리 초로라고 하는데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백자천손3) 얼카덩어리 곽분양도4) 얼카덩어리 죽어지면은 얼카덩어리 허사로구나 얼카덩어리 만고영웅 얼카덩어리 진시황도 얼카덩어리 여산 조처 얼카덩어리 잠들었고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김이 훔치기로 얼카덩어리 넘어를 갑시다 . 얼카덩어리 1) 삼당허리를 주축여가면서 : 구부정하게 굽힌 허리를 추슬러가면서. 2) 한 허리 단참에 : 굽힌 허리를 다시 펴지 않고 한번에. 3) 백자천손(百子千孫) : 많은 자식. 4) 곽분양(郭汾陽) : 중국 당나라 때 사람인 분양왕 곽자의(郭子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