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나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포천군 신북면 계류리의 논매는소리-메나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장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서장원 |
지역개관 |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계류리는 물이 흘러내려 간다 해서 계류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다. 가구수는 50여 가구 된다. 논농사와 밭농사가 비율이 비슷한데 밭농사로는 주로 채소이고 비닐하우스에서 고추재배도 하며 약초를 키우는 집도 몇 집 있다. 근처에 공장이 많이 들어와 있어 젊은이들은 근처 공장에 나간다. 하루에 버스가 여섯 번 들어와 교통은 매우 불편한 편이다. 청주 이씨와 달서 서씨, 문하 유씨가 대성이다. 농악이 성한 마을이었으나 6.25가 나면서 차차 없어졌고 호미씨세가 아직도 남아 있어 7, 8월에 농사 끝나면 날을 잡아 집집이 음식을 해서 하루 즐겁게 논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8일에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계류리에서 채집한 메나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장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는 소리는 메나리와 방아 소리 두 종류가 있다 한다. 메나리는 한 사람이 부르면 똑같은 가사로 따라 부르고 방아소리는 한 사람이 부르면 후렴만 따라 하는데 가창자는 이 노래를 충청도에서 배운 것이라고 한다. 메나리는 논 맬 때도 하고 밭 맬 때도 하는데 밭 맬때는 힘이 좀 덜 들어야 소리가 나온다고 한다. |
가사 | 이 논에도 물결이 좋아 일천 가지가 벌여 섰네
이 논에도 물결이 좋아 일천 가지가 벌여 섰네 일천 가지 벌인 논은 삼천 석이나 솟아나네 일천가지 벌인 논은 삼천 석이나 솟아나네 삼천 석이 솟아나면 부모 봉양을 못 헐소냐 삼천 석이 솟아나면 부모 봉양을 못 헐소냐 부모 봉향1) 허구 나선 빈민구제를 못헐소냐 부모 봉향 허구 나선 빈민구제를 못헐소냐 빈민구제 하구나선 일가 친척을 못 도와줄소냐 빈민구제 하구나선 일가 친척을 못 도와줄소냐 1) 부모 봉향 : 부모 봉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