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포천군 가산면 금현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동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윤동순 |
지역개관 | 경기도 포천군 가산면 금현리는 넓은 마을이라 해서 너베기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산에 금이 많아 옛날에는 금광이 번성했었다고 한다. 가구수는 70호 이상되며 대부분 논농사를 짓고 있는데 축산과 버섯재배를 하는 집도 몇 가구 있다. 농사는 주로 노인들이 맡고 있고 자녀들은 공장에 다닌다. 근처에 공장이 많아 버스가 한 시간 반마다 다녀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문하 유씨와 경주 이씨가 대성이다. 동지달 초닷새에 동네계인 리중(里衆)이 있어 윷놀이나 콩쿨대회를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제나 특별한 민속놀이는 남아 있지 않다. 가창자들이 어렸을 적만 해도 메나리가 유명한 마을이었는데 6.25를 지나면서 농악꾼들도 다 죽고 흐지부지해졌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8일에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계류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동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메나리를 제일로 치고 그 다음이 모심는 소리인데 소리를 주고 받는 다른 마을과는 달리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포천에서는 양력 5월 10일쯤부터 말일 사이에 모를 심는다. 메나리조로 짜여진 경기민요이다. 이것은 우리 민요에서 메나리조의 보편성을 의미하고 있다. |
가사 | 여기 저기도 심어도 사방에 줄모를1) 심었네
하나 하나 하나 하나냐 두울 둘이냐 셋 세이로구나 네엣 넷이냐 다섯 다섯 여섯 여섯 일곱 일곱 여덟 여덟 아홉 아홉 열 여기 저기다 심어도 삼배출짜리로2) 심었네 하나 하나 하나 하나냐 두울 둘이냐 셋 서이로구나 네엣 넷이다 다섯 다섯 여섯 여섯 일곱 일곱 여덟 여덟 아홉 아홉 열 여기 저기다 심어두 잘 될 자리로 심었네 하나 하나 하나 하나냐 둘 둘이라 세엣 세이로군나 네엣 네이냐 다섯 다섯 여섯 여섯 일곱 일곱은 여덟 여덜 아홉 아홉은 열 1) 줄모 : 줄을 세워서 심는 모. 이 마을에서는 원래 막모(허튼모)를 심었으나 일제시대부터 증산을 위해 줄모를 심기 시작했음. 줄모 때나 막모 때나 같은 노래를 불렀다고 함. 2) 삼베출 : 함 마지기에서 석 섬이 나는 소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