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나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포천군 가산면 금현리의 논매는소리-메나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소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소성 |
지역개관 | 경기도 포천군 가산면 금현리는 넓은 마을이라 해서 너베기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산에 금이 많아 옛날에는 금광이 번성했었다고 한다. 가구수는 70호 이상되며 대부분 논농사를 짓고 있는데 축산과 버섯재배를 하는 집도 몇 가구 있다. 농사는 주로 노인들이 맡고 있고 자녀들은 공장에 다닌다. 근처에 공장이 많아 버스가 한 시간 반마다 다녀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문하 유씨와 경주 이씨가 대성이다. 동지달 초닷새에 동네계인 리중(里衆)이 있어 윷놀이나 콩쿨대회를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제나 특별한 민속놀이는 남아 있지 않다. 가창자들이 어렸을 적만 해도 메나리가 유명한 마을이었는데 6.25를 지나면서 농악꾼들도 다 죽고 흐지부지해졌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7일에 경기도 포천군 가산면 금현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소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논을 보통 세 번 맨다. 초벌은 호미로 매며 노래는 방아타령을 하고, 두벌은 논매기 중에서도 제일 중요하며 손으로 땅을 훔치는데 이 때에 이 노래를 부른다. 일뿐 아니라 노래도 최고로 친다. 이 메나리는 역사가 200년 이상 되었다고 하는데 메기는 소리, 지르는 소리, 받는 소리, 매는 소리, 맺는 소리의 다섯 단계로 나뉜다. 각각의 소리를 다른 가창자들이 조를 나눠 번갈아가며 부른다. 힘이 들어도 소리를 길게 뽑으면 사람도 많고 구경도 좋다. 삼동은 사람 수도 적고 서서 왔다갔다 하면서 피를 듬성듬성 뽑아준다. 메기는 소리는 김소성, 지르는 소리는 김봉길 이영재, 받는 소리는 유태균, 매는 소리는 윤동순, 이상주, 맺는 소리는 박일룡이 불렀다.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가 자유스럽게 연결되어서 장단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양식이 옛날의 음악모습이고 19세기 이후에는 장단의 제약을 받는다. |
가사 | 이 논배미 물세 좋소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이 논배미가 물세 좋아 일 천 가지 벌여 서는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삼천 석이나 솟는 다네 삼 천 석이 솟았으면은 이에 이에 이에 이에 부모 봉양도 하여 보세 부모 봉양 허신 담이룬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처자 건사도 하여 보세 처자건살 허신담이는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친구 접대도 하여 보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