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둘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화성군 동탄면 석우리의 논매는소리-둘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조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임조현 |
지역개관 |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석우리는 예전에 돌머루라고 불렀다. 1리에는 세 마을이 있는데 첫 번째가 옻구리 혹은 옻골이라는 마을인데 옻 오른 사람이 먹으면 낫는다는 우물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지금도 우물이 있다. 두 번째 마을은 윤씨가 많이 산다 해서 윤두메라고 하고 세 번째가 진구리다. 석우리는 가구수가 30여 호 되며 이 중 농가가 28호 정도 된다. 논농사 위주이고 밭에는 사료를 심어 근처 사료 공장에 팔기도 한다. 석우 1리에 기업체가 많아 마을 사람들은 일용노동자로 공장에서 일을 하기도 한다. 물이 좋아 장수하는 마을인데 공장이 들어와서 환경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다. 마을 근처에 학이 나와서 동쪽으로 날아갔다고 하는 전설이 있는 동학산이라는 이름의 산이 있는데 이 산에 매년 음력 10월 1일 산제사를 지낸다. 당집도 예전에는 있었는데 6.25때 전투 요지라 전쟁통에 불타 없어졌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10일에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석우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조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은 보통 세 번 매는데 두벌 까지는 호미로 매고 마지막 세벌은 손으로 풀을 뽑으면서 훔친다. 초벌과 두벌은 각각 얼카덩어리와 방아타령을 하고 마지막 세벌에 이 노래를 한다. 여남은 명 되는 사람을 두 패로 나눠 좌 우가 소리를 주고 받는다. 소리를 받을 때는 엎드려서 하기도 학 일어서서 하기도 하는데 논매기는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주로 일어서서 받는다. 이 노래를 흔히 두울레 소리라고 부르는데 논을 손으로 둘른다(고르다)는 뜻에서 두울레라고 한다. 메기고 받는 형태의 노래가 아니고 두 패로 나누어 번갈아 노래하는 민요이다. 이러한 노래를 함께 부르려면 훈련과 협동심이 필요할 것이다. |
가사 | 에헤이리 두울레요
에헤이리 두울레요 오호 오하 두울레야 오호 오하 두울레야아 에헤여라 두울레요 에헤여라 두울레요 오호 오하 두울레야 오호 오하 두울레야 둘레기나 두울레요 둘레이나 두울레요 오오 오하 두울레야 오오 오하 두울레야 에헤이리 두우레요 에헤이리 두울레요 둘레기나 두울레요 둘레이나 두울레요 오오 오하 두울레야 오오 오하 두울레야 에헤이리 두울레요 에헤이리 두울레요 오오 오하 두울레야 오호 오라 두울레야 둘레기나 두울레요 둘레이나 두울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