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조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조원 |
지역개관 |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는 한일합방 되기 전까지만해도 이 마을 구장터였으나 합방 후에 장은 발안으로 옮겨졌다. 1리는 서촌, 2리는 동촌이라고 각각 불리는데 동촌이라는 이름으로 바뀌기 전에 이곳에는 서당이 있었다고 해서 서당골이라는 이름이 붙었었다 한다. 가구수가 84가구인데 이 중 78가구가 농가이다. 밀양 박씨가 65가구 정도 살며 풍양 조씨가 10가구 정도 산다. 밀양 박씨는 자손번성하는 산에 묘를 써 풍양 조씨는 번성하지 못하고 밀양 조씨만 번성했다 한다. 이 마을은 논이 많고 밭이 귀한 마을인데 450년 전 선조와 같이 들어왔다는 괴목이 있다. 역시 선조가 파냈다는 우물이 매년 음력 7월에 지내는 정제사와 말처럼 생겼다해서 마봉산이라고 이름붙은 산에 음력 9월 30일에 지내던 산제는 이미 사라진 지 오래다. 수원에서 다니는 차가 한 시간 간격으로 있어 교통은 그리 불편하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13일에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조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여기두 하난데 여기서 저만큼 또 하나
여기도 하난데 여기여차 또 하나 여보시오 농부님들 이내 말을 들얼 보소 봄에 밭갈고 씨뿌린 후에 유순풍조가1) 제일이다 여름에 김을 매고 가을에 거두어서 부모 처자를 봉양헙시다 부모 처자를 봉양허세 여기는 대석자리2) 저기는 양석자리3) 올해도 풍년이로구나 내년에도 풍년일세 저 건너 김풍원에 거동을 보아라 노적가리를 치져다보며 춤을 둥기둥 추는구나 오늘은 여기서 놀구 내일 날은 어디가 노나 농자는 천하지 대본이라구 허였구나 농사에다 심을 써서 우리 농토를 살려를 보자 그만 저만 끝이 났으니 다음 곡이루 넘어를 가자 여기두 하난데 여기서 저만큼 또 하나 (자 다 심었으니 인저, 술이나 한잔 먹구들 헤집시다 )(에 ) 1) 유순풍조 : 우순풍조(雨順風調). 농사가 잘 되도록 때를 맞추어 비가 오고 바람이 붐. 2) 대석자리 : 한 마지기에서 벼 한 섬이 나는 논. 3) 양석자리 : 한 마지기에서 벼 두 섬이 나는 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