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면생이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의 논매는소리-면생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건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건원 |
지역개관 |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는 한일합방 되기 전까지만해도 이 마을 구장터였으나 합방 후에 장은 발안으로 옮겨졌다. 1리는 서촌, 2리는 동촌이라고 각각 불리는데 동촌이라는 이름으로 바뀌기 전에 이곳에는 서당이 있었다고 해서 서당골이라는 이름이 붙었었다 한다. 가구수가 84가구인데 이 중 78가구가 농가이다. 밀양 박씨가 65가구 정도 살며 풍양 조씨가 10가구 정도 산다. 밀양 박씨는 자손번성하는 산에 묘를 써 풍양 조씨는 번성하지 못하고 밀양 조씨만 번성했다 한다. 이 마을은 논이 많고 밭이 귀한 마을인데 450년 전 선조와 같이 들어왔다는 괴목이 있다. 역시 선조가 파냈다는 우물이 매년 음력 7월에 지내는 정제사와 말처럼 생겼다해서 마봉산이라고 이름붙은 산에 음력 9월 30일에 지내던 산제는 이미 사라진 지 오래다. 수원에서 다니는 차가 한 시간 간격으로 있어 교통은 그리 불편하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13일에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건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애벌 매기는 호미로 하고 나중에 손으로 논을 훔치는 일을 통털어 면생이라고 하는데 논에 따라서는 두 번까지 하기도 하고 그 이상 하기도 한다. 2,30명이 한꺼번이 논에 들어가 논을 훔치는데 손을 저을 때 철벅거리는 물소리가 매우 듣기 좋다고 한다. 이때 부르는 소리를 면생이 농요라고 하는데 면생이 농요는 두울레타령, 면생이, 긴방아, 상사디야, 먼들소리를 차례로 부른다. 두 번째의 면생이가 길고 우렁차게 나오는 소리로 암면생이라고 하고 세 번째 노래인 긴방아 소리는 숫면생이라고 한다. 긴방아 소리는 힘이 들어서 일어나서 노래를 한다. 자진방아 소리까지는 느릿느릿 부르고 상사디야부터 소리가 잦아진다. 여럿이서 제창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일정한 장단이 없이 느리게 호흡에 따라서 노래한다. |
가사 | 아 아아 우 에에 우 오오오오 아아에 에에
아 아아 우 에에 우 오오오오 아아에 에에 아 아아 우 에에 우 오오오오 아아에 에에 아 아아 우 에에 우 오오오오 아아에 에에 아 아아 우 에에 우 오오오오 아아에 에에 아 아아 우 에에 우 오오오오 아아에 에에에 아에 에이 뒤이 뒤이이 오오오오 아아에아 뒤이 에헤 에헤 에이 뒤이 이이여 오오오오 아아아아 뒤이여 어헤 에헤 에이 뒤이뒤이여 오오오오 아아아아 뒤이여 어헤 에헤 에이 뒤이뒤이여 오오오오 아아아아 뒤이여 어헤 에헤 에이 뒤이뒤이여 오오오오 아아아아 뒤이여 어헤 에헤 에이 뒤이뒤이여 오오오오 아아아아 뒤이여 어헤 청명 시절이 우분분하니1) 에헤 에헤 에이 뒤이 뒤이여 오오오오 아아아아 뒤여여 에헤 노중 행인이 버선발로 대든다 에헤 에헤 에이 뒤이 뒤이여 오오오오 아아아아 뒤여여 에헤 목동묘지가 행화촌이로다2) 헤헤 에헤 에이 뒤이 뒤이여 오오오오 아아아아 뒤여여 에헤 1) 우분분하니(雨紛紛-) : 비가 온다는 뜻. 2) 목동묘지가 행화촌이로다 : 목동요지 행화촌(牧童遙指 杏花村). 두목(杜牧)의 시 청명(淸明)의 한 구절. 목동에게 술집이 어디냐고 물으니 목동은 멀리 살구 꽃 핀 마을을 가리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