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조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조원 |
지역개관 |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는 한일합방 되기 전까지만해도 이 마을 구장터였으나 합방 후에 장은 발안으로 옮겨졌다. 1리는 서촌, 2리는 동촌이라고 각각 불리는데 동촌이라는 이름으로 바뀌기 전에 이곳에는 서당이 있었다고 해서 서당골이라는 이름이 붙었었다 한다. 가구수가 84가구인데 이 중 78가구가 농가이다. 밀양 박씨가 65가구 정도 살며 풍양 조씨가 10가구 정도 산다. 밀양 박씨는 자손번성하는 산에 묘를 써 풍양 조씨는 번성하지 못하고 밀양 조씨만 번성했다 한다. 이 마을은 논이 많고 밭이 귀한 마을인데 450년 전 선조와 같이 들어왔다는 괴목이 있다. 역시 선조가 파냈다는 우물이 매년 음력 7월에 지내는 정제사와 말처럼 생겼다해서 마봉산이라고 이름붙은 산에 음력 9월 30일에 지내던 산제는 이미 사라진 지 오래다. 수원에서 다니는 차가 한 시간 간격으로 있어 교통은 그리 불편하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13일에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구장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조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소리를 책을 통해서 사설을 배우기도 했다 한다. 정해진 길이의 선율을 메기고 받는 노래이다. 메나리조의 영향이 화성지방까지 미치는 현상을 이 노래에서 알 수 있다. |
가사 | 에호리 달고
에호리 달고 달고 닫는 군방네들1) 에호리 달고 이내 말을 들어를 보쇼 에호리 달고 에허리 달고 에호리 달고 천하두 태평허며 에호리 달고 연무수문2) 허려니와 에호리 달고 시절이 부유허면 에호리 달고 포연탄을 만날 줄을 에호리 달고 이 소리는 고만두구 에호리 달고 자진가루3) 둘려를 보세 에헤 에헤에야 어거리 넘차 달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천지가 개벽한 후에 산천이 생겼구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오악은 조중이요4) 사해는 근원인데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백두산 일지맥은 동으루 뻗었으니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북방에는 명승이요 일국지방 산천이로구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제불귀는 대자진데5) 평상에두 먹은 마음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후세에 자손을 나서 마음 먹구 살려를 볼까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여보시오 동포님들아 십삼도라 동양 땅에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명산대지 명기를6) 모아 이 광중에다7) 넣어를 볼까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백두산 명기를 받고 묘향산 일지맥은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대동강이 둘렀으니 그 산이 명산이로구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 산 명기를 뚝따다가 이 광중에 넣어를 두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강원도라 금강산은 서한강이 둘렀구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 산 명기두 받어다가 이 광중에 넣얼두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황해도라 구월산은 황해 안에 솟았으니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 산두 이름난 산이다 그 산 명기를 받어다가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이 광중에 넣얼 봅시다 이 광중에 넣얼두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황해도라 구월산은 황해 안에 솟았으니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 산두 이름난 산이다 그 산 명기를 받어다가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경기도를 나려오니 수도 서울이 생겼구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이 광중에 넣얼 봅시다 이 광중에 넣얼 두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경기도를 나려오니 수도 서울이 생겼구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우뚝 솟은 삼각산에 관악산 일지맥은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한강이 둘렀으니 그 산두 명산일세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 산 명기두 받어다가 이 광중에 넣어를 두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충청도를 나려가보자 속리산 일지맥은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금강이 둘렀으니 그 산두 이름난 산이다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 산 명기두 받어다가 이 광중에 넣얼 두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전라도라 지리산은 경북일대가 청룡이로구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 산 명기두 받어다가 이 광중에 넣얼두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경상도라 태백산은 낙동강이 둘렀구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 산 명기도 받어다가 이 광중에 넣얼두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제주도를 근너가보자 한라산두 이름난 산일세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이 집터가 어떤 터냐 좌우로다가 살펴보자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좌청룡 우백호에 곤좌좌향이8) 분명쿠나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이 집을 진지 삼년만에 부귀공명은 물론이구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아들을 나면 효자를 낳고 딸을 나면 열녀를 낳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개를 기르면 사자가 되고 닭을 기르면 봉닭이 되고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말을 기르면 용마가 되고 소를 기르면 우황이9) 든다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그만 저만들 고만들 닫고 우리 한 번 쉬어를 보자 에헤 에헤헤야 어거리 넘차 달고 우여차 우여차 우여차 우여차 우여차 우여차 1) 군방 : 함께 일하는 사람들. 2) 연무수문(延袤守文) : 연은 동서, 무는 남북으로 연무는 넓고 멀리 뻗지른 길이. 수문은 선대의 성법(成法)으로 다스려 백성을 편안히 한다는 뜻. 따라서 연무수문은 동서남북의 백성을 널리 편안케 한다는 뜻. 3) 자진가 : 자진(잦은)소리. 4) 조중 : 조종(祖宗). 5) 제불귀는 대자진데 : 제불(諸佛)은 대자(大慈)인데. 6) 명기(明氣) : 맑고 경치가 아름다운 산천의 기운. 7) 광중(壙中) : 묘자리의 구덩이 속. 8) 곤좌좌향 : 곤좌간향(坤坐艮向). 곤방을 등지고 간방을 바라보고 앉은 자리. 즉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향한자리. 9) 우황 : 힘이 좋은 소라는 뜻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