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아지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제군 사등면 청곡리의 산아지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지정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지정선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제군 사등면 청곡리는 이전에 地石마을이라 불렀는데, 이는 마을 입구에 고인돌로 추정되는 돌이 있기 때문이다. 63호가 살고 있으며 인구수는 약 200여명 된다. 김해 김씨,전주 이씨 합천 이씨 등이 주로 살고 있으며 주로 논농사와 유자 재배를 하는 마을이다. 30분마다 거제읍으로 나가는 버스가 있다. 마을 동제나 용왕제 등의 민속행사는 거의 행하여지지 않고 있으며 유교적 가풍을 지니고 있는 집이 많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8월 26일에 경상남도 거제시(거제군) 사등면 청곡리에서 채집한 산아지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지정선이 참여하였다. 논매는소리, 등짐소리, 풍장소리, 또는 잡가로도 불리는 다양한 용도의 곡이다. 메기는소리의 길이는 원래 일정하나 여기서는 길어지기도 했다. 받는소리는 낮게 받다가 높게 받기도 한다. |
가사 | 시내갱변에 굴 까는 처녀
네 언제 커서로 내 살림 살래 어라 그것아 그 말씸 말어라 한 삼년 컸이몬 내 살림 산다 에야 데야 어허어이좋네 에루화 디여라 산아지를고나 청청하늘에 잔 별도 많고 시내야 갱변에 잔 돌도 많고 요내 가슴에 수심도 많다 에야 데야 어허어이좋네 에루화 디여라 산아지를고나 간다 몬 간다 내 얼매 울었노 정기정1) 마당에 한강수 된다 에야 데야 어허어이좋네 에루화 디여라 산아지를고나 청춘의 과부가 유복자 있고 강원도 금강산에 중 되로 간다 에야 데야 어허어이좋네 에루화 디여라 산아지를고나 저 건네 저 산이 왜 무너졌노 목닥꾼2) 살릴라꼬 제가 무너졌노 에야 데야 어허어이좋네 에루화 디여라 산아지를고나 전기불 밝아서 임 찾기 좋고 신작로 질 넓어 도망가기가 좋네 에야 데야 어허어이좋네 에루화 디여라 산아지를고나 아리랑 면도칼 십오 전 줬는데 촌놈의 이망에3) 신작로 난다 에야 데야 어허어이좋네 에루화 디여라 산아지를고나 네 정 내 정은 정 태산 같는데 임의 정은 녹수로다 에야 데야 어허어이좋네 에루화 디여라 산아지를고나 1) 정기정 : 정거장(停車場). 2) 목닥꾼 : 목도꾼. 3) 이망 : 이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