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굴까러 가세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해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제군 장목면 시방리의 굴까러 가세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찬이 외 21명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찬이 외 21명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제군 장목면 시방리는 섬모양이 화살을 겨누고 있는 모양처럼 생겨서 시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65가구가 살고 있으며 120여명이 살고 있다. 전통적인 반농반어의 마을로 매년 섣달 그믐날 동제를 지낸다.김해 김씨가 주민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11일에 경상남도 거제시(거제군) 장목면 시방리에서 채집한 굴까러 가세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찬이 외 21명이 참여하였다. 아낙네들이 굴을 채취하면서 하는 노래로, 오래 전부터 전해 오던 노래라 하지만 선율은 신민요에 가깝다. 지금도 굴양식 등 어패류 양식을 많이 하는 이 마을에서는 이 노래를 전수하고 있다. |
가사 |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연두야 새섬에1) 굴 까러 가세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2)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시내 갱빈에3) 굴 까러 가세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앞뒷집 큰아가 굴 까러 가세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가세 가세 굴 까러 가세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우리 일행들 굴 까러 가세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못 살겠네 못 살겠네 연두야 새섬에 못 살겠네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밤에는 임 기럽고 낮에는 물 기럽아 연두야 새섬에 못 살겠네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가세 가세 굴 까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 가세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얼시구 좋다 절시구 좋다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가세 가세 굴 까러 가세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굴 까러 가세 이 섬 저 섬에 굴 까러 가세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시내 갱빈에 굴 까는 처자야 니 언제 커서 내 친구 될래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물래야 댕기 꼬시랑 머리4) 니 언제 커서 내 사랑 될래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얼시구 좋다 절시구 좋다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가세 가세 굴 까러 가세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타박타박 타박머리 니 언제 커서 내 낭군 될래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조그만한 타박머리 니 언제 커서 내 사랑 될꼬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분다 연평바다에 갈바람 분다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바람 불고 비올 줄 알면 그 누구가 굴 까러 가나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얼시구 좋다 절시구 좋다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가세 가세 굴 까러 가세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물 밑에는 고기가 많아 용 될 고기가 몇몇인고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각시야 자자 각시야 자자 삼던 삼가래 재쳐 놓고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신랑아 자자 신랑아 자자 보던 책장 덮어놓고 얼시구 좋다 절시구 좋다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가세 가세 굴까러 가세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물 길러 가세 물 길러 가세 살방 동천에 물 길러 가세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물을 길러 둥천에 놓고 건너산 보고 한숨쉬네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새미가 좋아 물 길러 왔나 낭군이 그리워 물 길러 왔지 굴도 까고 임도 보고 겸사수사로 굴 까러 가세 얼시구 좋다 절시구 좋다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가세 가세 굴 까러 가세 연두야 새섬에 굴 까러 가세 1) 연두야 새섬 : 연도(椽島)의 새섬. 거제도의 서쪽에 있는 작은 섬. 2) 겸사수사(兼事數事) : 두 가지 이상 몇 가지의 일. 3) 갱빈 : 강변(江邊). 4) 물래야 댕기 꼬시랑 머리 : 물래 테를 댕기처럼 곱슬 머리에 동여 맨 어린 아이란 말을 익살스럽게 표현한 것. 5) 살방 : 경남 거제군 장목면 시방리(矢方里). 살방은 시방의 속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