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강술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제군 장목면 시방리의 강강술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양또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양또순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제군 장목면 시방리는 섬모양이 화살을 겨누고 있는 모양처럼 생겨서 시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65가구가 살고 있으며 120여명이 살고 있다. 전통적인 반농반어의 마을로 매년 섣달 그믐날 동제를 지낸다.김해 김씨가 주민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4년 10월 3일에 경상남도 거제시(거제군) 장목면 시방리에서 채집한 강강술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양또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전라남도 지방의 강강술래와 형식은 동일하다. 그러나 가창자에 의하면 이 노래는 연희를 하면서 불렀던 것이 아니라 길쌈이나 여러 가지 일을 할 때도 불렀고 심심할 때도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강강 수울래
강강 수울래 우리나 동네 우리 동무 강강 수울래 잘도 한다 잘도나 한다 강강 수울래 뵈기도 좋다 우리 동무 강강 수울래 딛기도 좋다 강강술래 강강 수울래 달 떠 온다 달 떠 온다 강강 수울래 우리 문전 사랑 앞에 강강 수울래 임 오는 것 뵈기가 좋고 강강 수울래 옥추난간 일만 봉에 강강 수울래 달 뜨는 것도 뵈기가 좋다 강강 수울래 단 팔십을 경사가 어데가 있노 강강 수울래 강강은 돌고 술래나 술래 강강 수울래 임아 종종 날 셈기 도고 강강 수울래 내야 어이 안 셈길까 강강 수울래 우러 님은 어디로 가고 강강 수울래 이런 세월 저런 세월 뭘 해 놨더노 강강 수울래 춘초는 연년이요1) 강강 수울래 왕소인들 귀불귈까2) 강강 수울래 하태3) 펜작4) 유이태도5) 강강 수울래 지 병 날 명을 몰라여서 강강 수울래 썩은 엥초6) 저문 날에 강강 수울래 실픈 혼백이 되어 있고 강강 수울래 우리가 살면 을매나 살까 강강 수울래 죽음에 들어 노소가 있나 강강 수울래 장안 청춘 소년들아 강강 수울래 청춘세월로 허송을 마소 강강 수울래 백발이 장차 미기7) 온다 강강 수울래 우리도 엊그지 소년일러니 강강 수울래 백발 되기 잠시드라 강강 수울래 서산에 지는 해는 강강 수울래 그기 누라 금지하며 강강 수울래 창해 유수 흐리는 물 강강 수울래 다시나 오기 어렵더라 강강 수울래 얼싸 절싸 내 동무야 강강 수울래 강강술래로 잘도나 한다 강강 수울래 노류장화8) 꺾어 들고 강강 수울래 청풍명월을 놀로 가세 강강 수울래 노자노자 생년에 노자 강강 수울래 죽고 벵들면 못 노더라 강강 수울래 공산 낙몽9) 일모퉁에 강강 수울래 진도배기나 젖을 담아 강강 수울래 깊이 파고 묻어 놓으면 강강 수울래 움도 싹도나 아니나 난다 강강 수울래 세월이 여루하야 강강 수울래 뻬는 삭아서 진토가 되고 강강 수울래 살은 녹아 녹수가 된다 강강 수울래 우리 자석이 있다 한들 강강 수울래 어느 누가 하세월에 강강 수울래 우리 도랑을10) 살피나 볼꼬 강강 수울래 1) 춘초는 연년이요 : 춘초연년록(春草年年綠). 2) 왕손인들 귀불귈까 : 왕손(王孫) 귀불귀(歸不歸). 왕손은 가고 돌아오지 않음. 3) 하태 : 화타(華陀). 중국 후한 때의 유명한 의원. 4) 펜작 : 편작(扁鵲). 중국 전국시대의 명의. 5) 유이태(劉爾泰) : 조선 정조 때의 명의. 6) 썩은 엥초 : 석양촌(夕陽村)의 잘못인 듯. 7) 미기(未幾) : 동안이 얼마 걸리지 아니함. 8) 노류장화(路柳墻花) : 길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이라는 뜻. 창부(娼婦)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9) 공산 낙몽 : 공산 낙목(空山落木)인 듯. 10) 도랑 : 무덤의 둘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