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줌치노레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제군 장목면 시방리의 줌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찬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찬이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제군 장목면 시방리는 섬모양이 화살을 겨누고 있는 모양처럼 생겨서 시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65가구가 살고 있으며 120여명이 살고 있다. 전통적인 반농반어의 마을로 매년 섣달 그믐날 동제를 지낸다.김해 김씨가 주민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11일에 경상남도 거제시(거제군) 장목면 시방리에서 채집한 줌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찬이가 참여하였다. 삼을 삼으면서 주로 불렀다는 노래이다. 놀면서도 불렀다고 한다. 주머니는 처녀들의 솜씨를 판단하는 잣대였다. |
가사 | 밀양이라 영남 숲에
뿌리 없는 남기 나서 그 나무 열매가 열어 무슨 열매 열었던고 별과 달이 열었다네 별은 따서 안을 옇고 달은 따서 줌치로 집어 뒷동산 굽은 나무 가지가지 달아 놓고 올라가는 구관사또 내리오는 신관사또 팔도 기겅을 가지말고 줌치 기겅을 하고 가소 이 줌치라 집은 솜씨 누 딸애기가 집었던고 아주 내 딸 봉숭애기 열 이레 새벽달에 마리 끝에라 걸앉아서 아리살푼 집었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