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개고리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제군 하청면 칠천도 어온리 장안의 개고리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40722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남도 > 거제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거제군)하청면 칠천도 어온리 장안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1 , 개고리타령 , 민요 , 경상남도 , 경남 , 거제시 , 1984 , 1994 , 개고리타령 , 김옥란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김옥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옥란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칠천도 어온리 장안은 섬의 입구 마을이라고 해서 긴 장자를 썼다고 한다. 카페리가 30분에 한 번씩 드나들어 주민들의 교통편에는 크게 불편이 없다. 60여호에 570명 정도의 인구가 거주하는 반농반어의 마을로 나주 임씨, 경주 이씨 등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고 나머지 타성들도 일부 거주하고 있다. 달리 특징지울만한 민속 놀이는 이제 사라졌고, 특히 과거에 지내던 동제도 현재까지 10여년을 지내지 못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4년 7월 22일에 경상남도 거제시(거제군) 하청면 칠천도 어온리 장안에서 채집한 개고리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옥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친정 동네에서 어른들이 하는 것을 듣고 배웠다고 한다. 그리고 주로 그물을 짜거나 새끼를 꼴 때 불렀다고 한다. 후렴은 호남지방 민요로 알려진 개구리타령(개골타령)과 흡사하나 받는소리가 3소절(아 에 어긔야)로 짧은 것이 특징이다. |
가사 | 임오 솜씨 지은 노사 자연 출수1) 거둘 수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정2) 뚝딱 배 맞춰라 온갖 장단에 베풀 여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흰 백자 붉은 홍자 그물 고자 저달 열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말을 몰고 꽃밭을 가니 말 구벵이가3) 상내 나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놀로 가자 놀로 가자 노류 장화를 끊어 쥐고 춘풍맹화로4) 놀로가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네가 나를 보라면 수명강을 건디가5)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연화방초 심하더니 삼사동화가 피었네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하늘이라 꽃틀 숨거 은해수가 물을 주어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어따 명화 저 꽃 봐라 붕을 붕실 피었네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하늘 밭에 목화 갈아 목화 따로 누랑 가꼬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열쇠 전부 손에 들고 우리 행자6) 둘이 가자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하늘이라 벨이 많아 칠성벨이가 멫멫 되나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솔밭에나 솔이 많아 도리 상랭이7) 멫멫 되나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대밭에는 대가 많아 연동대가8) 멫멫 인고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물 밑에는 괴기가 많아 용 될 괴기가 멫멫 인고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물 밑에라 응애 각시9) 응애 각시 자는 방에 아 -아아 에 –헤에 어긔야 1) 출수 : 추수(秋收)인 듯. 2) 정 : 구멍을 뚫는 연장. 3) 말구벵이 : 말굽. 4) 춘풍맹화 : 춘풍명화(春風名花). 춘풍 속의 명화. 명화는 아름답고 이름 난 꽃을 뜻하면서 아름다 운 여자나 기생을 뜻하기도 함. 5) 건디가 : 건너가. 6) 행자 : 형제. 7) 상랭 : 상량(上樑). 8) 연동대 : 연대(椽大), 즉 서까래만한 크기를 뜻하는 것. 9) 응애 각시 : 잉어 각시. 즉 잉어를 의인화한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