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징금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제군 신현읍 교현리 금곡의 징금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봉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봉수 |
지역개관 | 거제군은 경남의 남해안 중부에 위치한 우리나라 제 2의 큰 섬이다. 충무시에서 8㎞ 떨어진 지점으로 통영군과 거제군을 잇는 거제대교가 대한해협 다도해의 맑은 물속에 수려하게 그 자태를 뿌리깊게 내리고 있다. 위도상의 위치는 동쪽이 128도 46분, 서쪽이 128도 26분, 남쪽이 34도 40분, 북쪽이 35도 03분으로 북으로는 부산과 진해가 바다로 접하고 동으로는 일본의 대마도가 있어 맑은 날이면 그 모습을 명확히 바라볼 수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5년 5월 9일에 경상남도 거제시(거제군) 신현읍 교현리 금곡에서 채집한 징금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봉수가 참여하였다. 영남지방에 널리 퍼진 노래이다. 다른 지역의 징검이타령이 일반적으로 를 팔아도라고 되어 있는데 비하여 이 곡은 를 하여도라고 하는 표현으로 되어 있다. |
가사 | 하따 요봐라 진금아 내 말 쪼갠 들어라
하따 요봐라 진금아 내 말 쪼갠 들으마 대가리는 비어서 나무 한 딩이 팔아마1) 다무래 돈똔2)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머리는 비어서 북도 달비로 매나마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귀꾸녕은 비어서 부치 꼭다릴 달아도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눈꾸녕은 빼어서 매방울로 돌리도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귀꾸녕은 비어서 귀브리매쟁이로 주어서 불매구리로 나가도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모가지는 비어서 장군 마개로 하나마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폴은 비어서 곰배폴로 맨들아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손은 비어서 매발대로 하나마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허리는 비어서 벌통으로 앉히도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창시는 내어서 지준 놈으로 주어서 서답줄로3) 하나마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다리는 비어서 전둥다리로 맨들어 다무래 돈똔 받아도 니 돈 석 냥 갚으마 1) 팔아마 : 팔면. 2) 다무래 돈똔 : 제보자는 얼마 안되는 돈이라고 설명함. 3) 서답줄 : 빨래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