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개고리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의 개고리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윤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윤한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는 마을의 위치가 읍의 한가운데에 있으므로 중앙리라 불리고 있다. 3,000여호의 가구와 5,000여 명의 인구수를 가지고 있고 총 유권자 수만 하더라도 3,600명이 된다고 한다. 거창 신씨와 거창 장씨가 가장 많이 살고 있다. 농사짓는 사람은 100여호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거창공설시장에서 장사를 하고 있다. 이는 거창읍으로 승격되면서 일어난 현상이라고 한다. 이렇게 소도시화되면서 전통적인 민속은 거의 인멸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3월 3일에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에서 채집한 개고리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윤한이 참여하였다. 흥에 겨울 때 자연스럽게 입으로 흥얼거리는 노래이다. 이 노래는 15세 쯤에 동네의 남자 어른들이 놀 때 부르는 것을 듣고 따라 부르며 배웠다고 한다.+AU422 |
가사 | 구만이1) 동네 큰아기 구만이 동네 큰아기
고동 바구니 옆에 찌고 이 논에 찌웃 저 논에 찌웃 황새걸음을 걷누라 아아 에에 어기어기 어기야 간다더니 니 왜 와 간다더니 니 왜 와 이왕지왕 온 걸음에 하룻뱀이나 자고 가 아아 에에 어기어기 어기야 황새야 덕새야 황새야 덕새야 니 어데 가 자고 왔노 수영청청 버들가지 휘늘어진 데 자고 와 아아 에에 어기어기 어기야 까마구란 넘이 검다지 까마구란 넘이 검다지 가매 휘장을 둘러라 아아 에에 어기어기 어기야 깨갈깨갈 창깨갈2) 두 눈이 훌딱 둥굴딱 훌딱 까졌다 네 발 돋친 창깨갈 니기미3) 집을 찾을라거든 삼시 묵고 날뛰자 아래 웃도리 활씬 벗고 대구 성내 미나리깡을 드트라4) 아아 에에 어기어기 어기야 니가 정정 날 몰라 니가 정정 날 모르나 상상도5) 영남 땅에 조자랑을 니가 정정 날 몰라 아아 에에 어기어기 어기야 너거 집이 위태로 너거 집이 위태로 높은 산영 고목 남게 까마구집이 위태로 아아 에에 어기어기 어기야. 1) 구만이 : 대구에 있는 마을의 이름이라 함. 2) 창깨갈 → 청개구리. 3) 니기미 너희 어미. 4) 드트라 : 찾으라. 5) 상상도 : 상산. 삼국지에서 조자룡이 살던 지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