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동풍가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의 동풍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옹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옹기 |
지역개관 | 가지리 개화는 거창읍에서 2㎞ 떨어진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지리의 하단부락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옛날에는 개봉과 연결되어 갈지라고 불렀으며, 고려 충렬왕 1270년에 가지리를 개척하기 시작했다. 그 후에 개화라고 불렸고, 문화 유씨, 벽진 이씨, 진양 형씨, 밀양 박씨 등으로 부락이 형성되어 있다. 지내에서 개봉까지 뻗은 산줄기가 칡넝쿨처럼 뻗어 내렸다 하여 지내를 가지로 개화를 칡꽃으로 개봉을 열매로 지명을 지었다. 총호수 98호 중 농가 80호, 비농가 18호에 인구는 460여명으로 쌀농사와 사과 수익으로 대체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는 전형적 농촌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5년 6월 12일에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에서 채집한 동풍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옹기가 참여하였다. 거창, 함양, 산청 등 소백산맥 지방 일대에서 봄놀이 때나 가을 단풍놀이 때 주로 불렀다는 유흥요. 전북, 제주 등지에서도 이따금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서도소리권으로부터 전국으로 퍼진 곡으로 추정된다. 가창자는 어려서부터 이 노래를 배워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실실어 동풍에 궂은 비 주리줄줄 오는데
시화야 연풍간데에에 인생 복만 가노라 에에용 에에용 어절마 해징가나만 두둥실 내 사랑만 가노라 남산에 봉핵이 지가 죽신을 물구서 오동아 숲속으로 아이가이고 곰돌아든다네 에에용 에에용 어절마 제젱가나만 두둥실 내 사랑만 가노라 울통에 불통에 저 건너 저 남산 보여라 우리도 죽어지멘은 아이가이고 저 모냥사로다 에에용 에에용 어절마 제젱가나만 두둥실 내 사랑만 가노라 청처매 끈에다 소수 약주병 차고서 김도령 찾아서 이 골목 저 골목 흐댄다 에에용 에에용 어절마 제젱가나만 두둥실 내 사랑만 가노라 물맹지 단속곳 제가 유통만 걸고서 대장부 간장을 아이고 다 늘케 낸다네 에에용 에에용 어절마 제젱가나만 두둥실 내 사랑만 가노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