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과부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의 과부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수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수애 |
지역개관 | 가지리 개화는 거창읍에서 2㎞ 떨어진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지리의 하단부락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옛날에는 개봉과 연결되어 갈지라고 불렀으며, 고려 충렬왕 1270년에 가지리를 개척하기 시작했다. 그 후에 개화라고 불렸고, 문화 유씨, 벽진 이씨, 진양 형씨, 밀양 박씨 등으로 부락이 형성되어 있다. 지내에서 개봉까지 뻗은 산줄기가 칡넝쿨처럼 뻗어 내렸다 하여 지내를 가지로 개화를 칡꽃으로 개봉을 열매로 지명을 지었다. 총호수 98호 중 농가 80호, 비농가 18호에 인구는 460여명으로 쌀농사와 사과 수익으로 대체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는 전형적 농촌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7년 10월 14일일에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에서 채집한 과부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옹기가 참여하였다. 과부가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의 노래이다. 일을 할 때 부르기도 한다. 가창자는 12세 정도에 과부인 고모가 부르는 것을 들어 배웠다고 한다. 그 때 고모는 좋지 못한 노래이니 부르지 말라고 하였다고 한다. 달거리 형식이다. |
가사 | 정월이라 대보름날은 답교가자는 명절인데
청춘남녀 짝을 지어 양양삼삼이 다니건만 우런 님은 어디를 갔게 답교 가자는 말이 없노 이월이라 한식일은 개자추에 넋이로다 북망산천을 찾어 가서 무덤을 안고 통곡하니 무정하고도 야속한 님이 왔느냐 소리도 없고나야 삼월이라 삼짓날은 제비도 옛집으로 돌아오고 기홍덕에1) 창공 아래 기러기도 제 집으로 돌아오건만 우런님은 어디를 갔게 집 찾아 올 줄을 모르는고 사월이라 초파일은 서가모니의 탄일이라 집집마다 등불을 밝혀 자손발원을 하련마는 하늘을 봐야 별을 따지 임 없는 내야 소용 있나 오월이라 단오일은 추천하자는 명절인데 녹의홍상 미녀들은 임과 서로 뛰놀건만 우런님은 어디를 갔게 추천하자는 말이 없노 유월이라 십오일은 유두의 명절이 아니던가 백분청류에2) 찌진아 송편 쫄깃쫄깃 맛도 좋다 임 없는 빈 방 안에 혼자 먹기 금창이3) 막혀서 못 먹겄네 칠월이라 칠석날은 견우적니에4) 만나는 날 오작교 먼머나 길에 일년에 한번썩 만나건만 우런님은 어디를 갔게 십년에 한번도 못 만나노 팔월이라 십오일은 중추의 가절이 아니던가 청춘남녀 짝을 지어 망원산보를5) 가련마는 우런님은 어디를 갔게 망원가자는 말이 없노 구월이라 구월날은 기러기도 제집으로 돌아가 한번 가면은 찾아올 줄을 만물의 짐승도 알건마는 우런님은 어디를 갔게 일구에 소식이 없고나야 시월은 상달이라 집집마다 고사 제사 불사님6) 전에 백설기요 터주 전에 무성귀야7) 재수야 사망도 빌거니와 우런님에 명복도 빌어 보자 동짓달을 잡아드니 절기는 벌써 내년이라 동지으 팥죽을 먹고 나니 원수의 나이는 더 먹었네 나이는 한 살 더 먹어도 임은 또 하나 안 생긴다 섣달은 막달이라 빚진 사람 졸리는 때 이 동지가 지나고 나니 섣달 그믐이 고대로다 복조리는 사라고 하되 임 건질 조리는 없구나야 얼씨구나 좋다 기화자 좋네 칭이짝8) 같은 내 팔자야 1) 기홍덕 : 뜻 모름. 제보자는 지명이라고 함. 2) 백분청류(白粉淸流) : 흰 가루와 맑은 물. 흰 가루는 송편의 재료인 쌀가루이고, 맑은 물은 유두놀 이를 하는 시내의 흐르는 물을 묘사한 것. 3) 금창 : 가슴. 4) 견우적니에 : 견우직녀(牽牛織女)의. 5) 망원산보 : 망월산보(望月散步)의 잘못인 듯. 6) 불사님 : 부처님의 잘못인 듯. 7) 무성기 : 무설기떡. 무시루떡. 8) 칭이짝 → 키(箕)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