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물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임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의 나물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차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신차순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는 원래 상동이라 불렀는데, 거창읍을 가로지르는 하천의 위쪽이기 때문에 상동이라 했다. 읍내에 위치하여 교통은 아주 편리하다. 경주 최씨, 황산 신씨 등 아주 많은 성씨가 분포되어 있다. 산업으로는 논농사가 대부분이며, 상업이 발달하고 있다. 민속적인 것들은 읍의 발전으로 거의 사라지고 없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3월 6일일에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에서 채집한 나물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차순이 참여하였다. 나물을 띁으면서 박자를 맞추던 노래라고 한다. 노래 속에 많은 나물의 이름들이 등장하고 있다. |
가사 | 천자 입하 기우나물
쇠뿔같은 저 두릎은 뭘 먹자꼬 입을 이노1) 오동보동 고사리는 날 본다꼬 고개 들까 은그 그장 할나물 얌전할사 참나물 이름 좋다 미역나물 패악할사 엉거꾸 불쌍할싸 떡갈나무 (웃음 ) 빤득빤득 딱주나물 돌돌 말린 햇님나물 눈에 붙은 민다래끼 뜯기 좋은 동구무니 이홍 삐홍2) 말망아지 산중 채소 좋다한들 야지 채소 당할쏘냐 하늘 천자 꽃다지 이름 좋다 쑥나물 뱅뱅 도는 돌깃나물 얼싸절싸 장구나물 오목조목 구서딩이 포른 날풀 무내싹 뜯기 싫은 나시랭이 보기 싫은 콩두디기 한푼 두푼 돈나물 논에 가는 써리초 흐틀비틀 들금다지 늙어서도 할미작기 젊어서도 할미작기 (웃음 ) 1) 이노 : 여노, 즉 여느냐의 잘못. 2) 이홍삐홍 : 망아지의 울음소리를 빗댄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