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뚝박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창군 남하면 지산리 자하의 말뚝박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문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유문상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지산리 자하는 원래 깊은 골짜기라 하여 은곡(숨을 은자에 골 곡자)이라 불렸는데, 일정때부터 자하(붉을 자자에 노을 하자)로 불리었다. 버스는 하루에 5번 다녀 교통이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서쪽으로 일산봉이 있고, 덕유산이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77가구에 15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으며, 논농사가 중심이고 하우스에서 수박 농사를 지어 수입원이 되고 있다. 아직까지 바람 올리기 등의 민속이 남아 있으며, 동제는 지내지 않고 해부루를 모시는 습속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1월 13일일에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지산리 자하에서 채집한 말뚝박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문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못둑을 다질 때 부르는 노래이다. 가창자는 열한살 쯤 마을 앞의 저수지를 팔 때 어른들이 부르는 것을 듣고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어헤루 망께야
어허루 망께야 천근만근 망께는 어허루 망께야 공중에서 놀고요 어허루 망께야 열스무 자 말목은 어허루 망께야 땅 밑으로 들어가네 어허루 망께야 에헤루 망께야 어허루 망께야 이 못을 모아 놓고 어허루 망께야 이 산 주민들 행복하네 어허루 망께야 노자노자 젊어 놀아 어허루 망께야 늙고 병들면 못 노나니 어허루 망께야 청천하늘에 잔별도 많고 어허루 망께야 요내 가슴에 수심도 많다 어허루 망께야 에헤루 망께야 어허루 망께야 오복사 젙이불1) 나우잠 자고2) 어허루 망께야 새별같은 처녀가 낙루를 한다 어허루 망께야 바람은 불어 저 재를 넘고 어허루 망께야 수양산 그늘은 골 잡아 든다 어허루 망께야 오늘 해가 다 됐는가 어허루 망께야 골골마다도 그늘이네 어허루 망께야 해가 져서 그늘인가 어허루 망께야 산이 높아 그늘이지 어허루 망께야 에헤루 망께야 어허루 망께야 명사십리 해당화야 어허루 망께야 꽃진다고 서러 말고 어허루 망께야 우리 인생 한번 가면 어허루 망께야 다시 오기 어렵구나 어허루 망께야 북망산천 돌아갈 때 어허루 망께야 어이갈꼬 어이갈꼬 어허루 망께야 에헤루 망께야 어허루 망께야 이 못둑을 다물기 박자 어허루 망께야 에헤 망께야 어허루 망께야 술은 술술 잘 넘어가고 어허루 망께야 냉수는 입안에 돈다 어허루 망께야 에헤루 망께야 어허루 망께야 1) 오복사 젙이불 : 오복(五福)을 수 놓은 겹이불. 2) 나우잠 : 나비잠. 갓난아이가 두 팔을 머리위로 올리고 자는 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