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성주굿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창군 남하면 지산리 자하의 지신밟기소리-성주굿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문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유문상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지산리 자하는 원래 깊은 골짜기라 하여 은곡(숨을 은자에 골 곡자)이라 불렸는데, 일정때부터 자하(붉을 자자에 노을 하자)로 불리었다. 버스는 하루에 5번 다녀 교통이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서쪽으로 일산봉이 있고, 덕유산이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77가구에 15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으며, 논농사가 중심이고 하우스에서 수박 농사를 지어 수입원이 되고 있다. 아직까지 바람 올리기 등의 민속이 남아 있으며, 동제는 지내지 않고 해부루를 모시는 습속이 있다. |
해설 | 정초에 지신밟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마을 어른들이 하는 것을 듣고 보고 자연스럽게 익힌 것이라고 한다. 지신밟기 풍물패의 선두에는 농자천하지대본기를 앞세우고 뒤에는 풍물패, 그 뒤에는 가장행렬이 따른다. |
가사 | “성주조왕님들 ” “어 ∼어 ”
“눈크고 발 큰 놈들은 저 물알로 쫒고 ” “어 ∼어 ” “정월 초하룻날부터 섣달 그믐날까지 이 집에 복이 드그륵드그륵 모아 주자 ” “어 ∼어 ” 매구영차 지신아 우리야 조선이 생겨서 태백산이 생겨서 태백산 명당이 떨어져 곤룡산이 생겨서 곤룡산 명당이 떨어져 뒷동화산이 생겨서 화산당 명당이 떨어져 이 명당이 생겨서 이 명당 맡기를 유씨가문에 맡아서 이 명당 다진 후에 동네 군장을1) 잡혀서 내로 가세 내로 가세 성지목을2) 내로 가세 앞집에라 박대목 뒷집에라 김대목 작은 도치 큰 도치 싹싹 갈아 짊어지고 제주화산을 들어가 가리세 가리세 성주목을 가리세 가리고 나니 계수나무 박대목 거동 봐 오른 도꾸 둘러매고 삼세 번을 찍었네 김대목 거동 봐 왼도끼 울러미고 삼세 분을 찍었네 동쪽으로 누웠네 밑둥을 끊어서 상지동3) 중동을 끊어서 이지동4) 삼사지동가 끊었네 성주목 운반하올 때 동네군장을 잡혀서 성주목 운반하온 후에 이 집을 세울 때 호박주추5) 유리지동6) 갈 지자로 세웠네 상량을 하올 때 수물여자 베자치7) 상량에다 걸어 놓고 돈이라도 칠천 냥 은이라도 사천 냥 수대목8) 차지가 여기요 곤룡산 흙흘 파다가 왕토새복을 하고요9) 송편식으로 단장하여 옥기와로 이었네 사모에다 핑경달아 핑경 소리가 정 좋다 매구영차 지신아 유씨와 유씨대조 금년신수를 당해서 농사라도 짓거든 우거지고 씨러지소 한 가지로 들거든 천 석이나 하소사 두 가지로 들거든 만석이나 하소사 매구영차 지신아 유씨와 유씨대조 금년신수를 당해서 아들내기 놓거든 글공부 힘을 써 서울로 올라서 좋은 강당에10) 들어가 요지에다11) 먹을 갈아 알상급제 도장원 원수 삼대 하신 후에 집으로 나려 올 때 동네 앞에는 일사당12) 천상13) 앞에는 하주요14) 매구영차 지신아 유씨와 유씨대조 금년신수를 당해서 떡을 가지고 팔매 쳐15) 술을 가지고 양주 쳐16) 동서남북을 다 댕기도 꽂이 되고 잎이 되소 천년이나 누루소 만년이나 누루소 천추만대 누루소 1) 군장(群壯) : 여러 장정들. 2) 성지목 → 성주목( ─木) : 성주 기둥을 만들 나무. 3) 상지동 → 상기둥(上 ─) : 첫째 기둥. 4) 이지동 → 이기둥(二 ─) : 둘째 기둥. 5) 호박주추 : 호박돌로 다진 뒤에 놓은 주춧돌? 6) 유리지동 : 도리와 기둥. 7) 수물여자 베자치 : 스물 여섯 자의 베. 여기서는 삼베 한 필을 뜻함. 8) 수대목(首大木) : 대목의 우두머리. 9) 왕토새복 : 황토흙으로 하는 새벽질. 10) 강당 : 과거를 보던 장소 11) 요지(瑤池) : 신선이 산다는 연못 이름. 여기서는 아주 좋은 벼루. 12) 일사당 : 뜻을 모름. 13) 천상 : 제보자는 조상의 선산이라 설명함. 14) 하주 : 뜻 모름. 15) 떡을 ∼ 팔매 쳐 : 떡이 먹고 남아서 팔매를 쳐 던져 버릴 정도라는 뜻. 16) 술을 ∼ 양주 쳐 :양주 쳐는 양치질을 하여. 술이 먹고 남아 양치질을 할 정도라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