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수박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거창군 남상면 임불리 월포의 수박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명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명석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임불리 월포는 이전에는 뒷대마을이라고 부렀는데 그 이유는 마을 뒤에 대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52가구에 150여 명이 살고 있다. 교통이 비교적 불편한 편으로 거창읍에서 하루에 두번씩의 버스가 들어오고 나간다.논농사와 밭농사를 주로 하며 살고 있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 마을 주민이 모두 모여 김해 김씨한사람의 묘에 가서 제사를 올리는데, 이는 이 사람이 죽으면서 그의 전재산을 마을의 공동답으로 기증을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외에는 특이할 만한 민속은 없다. 현재에는 동래 정씨와 전주 이씨가 주로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6년 12월 23일에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임불리 월포에서 채집한 수박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명석이 참여하였다. 놀 때나 심심할 때 장난삼아 부르던 노래이다. 가창자는 젊었을 때 사랑에서 놀면서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종로 네거리 수양 삼거리 썩 나서니
어러지1) 들성2) 물외도 사고 꼭대기 없는 참외도 사고 둥글둥글 수박도 사고 이것저것 다 사고 나니 은장도 드는 칼로 수박 꼭대기 뚝 따 놓고 너도 한 숟가락 푹 떠 묵고 나도 한 숟가락 푹 떠 묵고 아따 그 수박 다다3) 자재미4) 달싹 놀아 보자 1) 어러지 → 얼러기? : 얼러기는 털빛이 얼럭얼럭한 짐승. 여기서는 그런 모양의 오이를 묘사한 듯. 2) 들성 : 들큼한. 3) 다다 → 달다. 4) 자재미 : 재미를 흥겹게 표현한 말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