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영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유영례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은 소 우자에 뫼 산자를 쓰며, 예전에는 틈실 또는 특곡이라고도 했는데, 뒷산이 누운 소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름하였다. 마을 앞 쪽으로 큰 못이 있었고, 지금도 매립으로 줄기는 했지만 제법 큰 못이 있어 이것을 소 여물통으로 생각하고 있다. 마을 앞으로 고속화 도로가 있어, 이 길로 자주 왕래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하고 시내버스는 왕래하지 않는다. 97가구에 320명의 인구이며, 논농사가 대부분이고, 고추, 콩, 깨 등의 작물을 생산하고 보리는 주문 생산한다. 12월 30일 자정께 마을 앞 동산에 쌓아 둔 당산할매를 모신 돌무덤에서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24일에 경상남도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영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이다. 처음에는 느린 긴등지를 부르다가 점심식사 전이나 저녁에 일을 마칠 때에는 빠른 짜른등지를 부른다. |
가사 | “모숨구러 갑시더 ” “모숨구러 갑시더 ”
아래 웃논 모꾼들아 에헤 에헤이 춘삼월이 어느 땐고 우러 님이 가실 적에 엥헤 에헤이 춘삼월에 오마더라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숟가락 단 반에1) 세니라고 더디나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바가지 죽 반에2) 끼니라고 더디나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미나리 채국에3) 맛본다고 더디나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짚신 한짝 메투리 한짝 끄니라고 더디나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짜린 치매 진 치매 끄니라고 더디나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작은애미 큰애미 싸운다고 더디나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삼간집 모랭이 도니라고 더디나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동서야 동서야 항꾼에 가자 요내 점심도 다 되었네 더디고 더디다 점심 채비가 더디다 오늘 해가 다 졌는가 에헤 에헤이 골골마다 연기나네 우리 님은 어디 가고 에헤이 연기낼 줄 모르시나 저 건너 너리석 바구4) 앵피5) 배자를 늘었더니 바램이 불까 말까 걷어질까 염려로세 여기도 꼽고 저기도 꼽고 주인네 마누레 샅에도 꼽제 소목소목 숨궈라 마댕이나 메우세 드문드문 숨궈라 고랭이나 메우세 1) 단반 : 한 단 반. 2) 죽반 : 한 죽 반(半).한 죽은 10개 .그러므로 죽반은 15개임. 3) 채국 → 냉국. 4) 너리석 바구 → 너럭 바위. 5) 얭피 : 양피. 양가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