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논매고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의 논매는소리 · 논매고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20724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강원도 > 고성군 |
생산지역 상세 |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2 , 논매는소리·논매고오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경상남도 , 경남 , 고성군 , 1992 , 1994 , 논매는소리 , 논매고오는소리 , 천의생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천의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천의생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은 소 우자에 뫼 산자를 쓰며, 예전에는 틈실 또는 특곡이라고도 했는데, 뒷산이 누운 소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름하였다. 마을 앞 쪽으로 큰 못이 있었고, 지금도 매립으로 줄기는 했지만 제법 큰 못이 있어 이것을 소 여물통으로 생각하고 있다. 마을 앞으로 고속화 도로가 있어, 이 길로 자주 왕래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하고 시내버스는 왕래하지 않는다. 97가구에 320명의 인구이며, 논농사가 대부분이고, 고추, 콩, 깨 등의 작물을 생산하고 보리는 주문 생산한다. 12월 30일 자정께 마을 앞 동산에 쌓아 둔 당산할매를 모신 돌무덤에서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24일에 경상남도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천의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모두 보여주는소리다. 상사소리, 방아소리는 논을 매면서 하는 노래, 칭칭이소리는 논을 다 매고 마을로 행진하면서 춤추며 부르는 노래이다. |
가사 | ◎ 상사소리
“자, 모두다 논매러 오이소 ” “논매러 오이소 ” 상사디여 상사디여 상사소리를 맞추어 주소 상사디여 상설학교를 베푸르고 상사디여 성훈을 배우기는 상사디여 도덕군자가 할 일이네 상사디여 우리같은 농부들은 상사디여 일만하고 술만 먹소 상사디여 ◎ 방애소리 오오호 오오우 방애 오 오오우 방해 방애소리 한분하자 오 오오우 방해 실농씨에 본을 받아 오 오오우 방해 높은 데는 밭을 치와1) 오 오오우 방해 낮은 데는 논을 치와 오 오오우 방해 백과 종자 씨를 부려 오 오오우 방해 만사 풍년을 이루어 보자 오 오오우 방해 금년 농사 잘 지은 짐에 오 오오우 방해 괭이 자리나 한분 타라 오 오오우 방해 ◎ 칭칭이소리 치기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얼씨구나 농부들아 치기나 칭칭나네 이내 말을 들어보소 치기나 칭칭나네 아들자석 낳거들랑 치기나 칭칭나네 대농가에 보내서러 치기나 칭칭나네 실농씨를 만듭시다 치기나 칭칭나네 고관대작 내사 싫소 치기나 칭칭나네 농사일이 제일이요 치기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아침부터 저녁까지 치기나 칭칭나네 쉴새 없이 일을 하니 치기나 칭칭나네 무쇠 같은 우리 신체 치기나 칭칭나네 철석 같이 튼튼하다 치기나 칭칭나네 먼 데 사람은 듣기도 좋고 치기나 칭칭나네 젙에 사람은 춤 잘 친다 치기나 칭칭나네 이름다운 금수강산 치기나 칭칭나네 살기 좋은 우리 고장 치기나 칭칭나네 금년에도 풍년이요 치기나 칭칭나네 내년에도 풍년이라 치기나 칭칭나네 연년연년이 풍년이요이 치기나 칭칭나네 늙은 노인은 죽지를 말고 치기나 칭칭나네 젊은 청춘은 늙지 마소이 치기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1) 치와 : 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