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보리타작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의 보리타작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천의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천의생 외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은 소 우자에 뫼 산자를 쓰며, 예전에는 틈실 또는 특곡이라고도 했는데, 뒷산이 누운 소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름하였다. 마을 앞 쪽으로 큰 못이 있었고, 지금도 매립으로 줄기는 했지만 제법 큰 못이 있어 이것을 소 여물통으로 생각하고 있다. 마을 앞으로 고속화 도로가 있어, 이 길로 자주 왕래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하고 시내버스는 왕래하지 않는다. 97가구에 320명의 인구이며, 논농사가 대부분이고, 고추, 콩, 깨 등의 작물을 생산하고 보리는 주문 생산한다. 12월 30일 자정께 마을 앞 동산에 쌓아 둔 당산할매를 모신 돌무덤에서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24일에 경상남도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에서 채집한 보리타작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천의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보리타작을 하며 부르는 노래이다. 칠팔명 정도가 선소리하는 사람의 소리에 맞춰 도리깨질을 한다. 다른 지역에 비해 소리 마디가 짧아 대단히 경쾌하다. |
가사 | “자! 다 오이소. 보리타작 한바탕 합시다. 예”
에화 / 에화 / 에화 / 에화 뒤를 / 뒤를 / 물러서고 때려요 / 때려라 보리가 / 많이 / 붙는다 에야 / 에야 / 에야 또 나간다 / 나간다 / 나간다 요리 / 조리 / 보면서 지근지근 / 볿히라 여봐라 여 / 때려라요 / 쌔려라 일면 / 나간다 군사같이 / 나가구나 에야 / 에화 / 에야 / 에야 심 씨는 / 소리다 때려라요 / 때려라요 쌔려요 / 에화 궁딩이는 / 모으고 도리깨는 / 벌리라 에야 / 에야 쌔려라요 / 때려라요 보리 / 이삭이 많이 / 붙는다 걸쳐서 / 때려라 쌔려라 / 때리줘라 일변 / 또 나간다 나간다 / 에야 뒤를 / 물러서면서 걸쳐서 / 때려라 쌔려라 / 때려요 보리 / 이삭이 많이 / 붙는다 먼데 / 사람은 구경을 / 하도록 신명있게 / 때려라 쌔려요 / 쌔려라 목이 / 모르거든 주인한테 / 술 주라고 많이 먹고 / 힘차게 이차 / 이차 힘차게 / 하는구나 “자! 한바탕 했으니께 한 잔 먹고 쉬어 합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