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친가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해군 장유면 유하리 후포의 사친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길금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길금이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김해군 장유면 유하리 후포는 원래 뒷개마을이라고 불렸는데, 그 이유는 원래 마을 바로 앞 쪽이 바닷가였기 때문이다. 부마고속도로와 접한 마을로 교통은 대단히 편리한 편이다. 근래 농공단지의 개발로 공장이 많이 들어서 있다. 대부분 각성들이 살며, 53가구 정도이다. 그리고 민속놀이나 행사는 전혀 행하지 않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월 29일에 경상남도 김해시(김해군) 장유면 유하리 후포마을에서 채집한 사친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길금이가 참여하였다. 딸로 태어나서 중매를 통해 시집을 가서 시집살이의 어려움과 친정부모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중간 부분에서 시집을 가는 딸에게 시집에서 할 행동을 일러 주는 친정어머니의 당부 말씀은 내방가사와 같은 느낌을 준다. 가창자는 친정에서 어머니께 이 노래를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유애유수1) 꿈을 꾸니 놓으니 딸일레라
딸을 났다 서러 마소 가문가문 여자 나요 시무 세 살 먹거들랑 고운 질쌈 매매2) 길쌈 주야주야 공부하야 남자 이별 그양 한데3) 여자 이별 그양 마소 간청해야 간청해야 중매자를 간청해야 그 처녀 간태가4) 어떠 한고 영남에 첫째 가고 그 처녀 간태가 어떠 한고 서울 가도 첫째가고 하루 이틀 지낸 후에 넘우 가문 갈라 카니 부모님 하는 말쌈 야야 거게 앉아 이내 말쌈 들어봐라 넘우 가문 가거들랑 제사임금5) 들거들랑 씩은6) 서답7) 개복하고8) 머리 깜아 정신하고9) 꼬꼬 닭을 잡거들랑 잔터래기 조심하고 맷밥을 짓거들랑 미 돌 없이 조심하고 이웃 사람 오거들랑 썩 나가 낯틀 보고 한색을10) 빈치 말고 사랑에 오는 손님 귀경 말고 대접하고 시부모는 인정씨고 시부모는 긴긴하고11) 친동상 울음 울먼 매를 들기 흘기시나 시동상 울음 울먼 하던 일도 걷어 놓고 업어 주고 달개 놓고 새미길에 가시거덩 남에 말씸 조심하고 축담 끝을 지나갈 때 신짝 볿기 조심하고 정지간에 들거들랑 코 풀기로 조심하고 높은 데라 서거들랑 처매자락 조심하고 사령 사령 내 사령아 저런 사령 얻었던공 처매 바람 행실 사령 옷고름에 참실12) 사랑 저런 사랑 어딨던공 편지 왔네 편지 왔네 마산 거게 편지 왔네 손이 왔네 손이 왔네 친가에 손이 왔네 겉에 겉 핀주 패어 보니 아버님 전에 쓴 핀주고 속에 속 핀주 패어 보니 어머님 전에 쓴 핀주고 그 편지 답장할 때 어머니요 아버니요 가이가이13) 생각 마소 예전에 딸을 낳아야 넘 줄 줄로 아더라요 이래 이 청 다한 후에 그네 근청 가오리다. 1) 유애유수 : 유왕유심(愈往愈心)의 잘못인 듯. 즉 차차 나아갈수록 더욱 심하게란 뜻인 듯. 2) 매매 늘 하늘. 3) 그양 한데 → 그냥 하는데. 4) 간태 : 자태(姿態)란 뜻으로 쓰인 말. 5) 제사임금(祭祀─) : 제사날이란 뜻으로 쓰인 말. 6) 씩은 → 씻은. 7) 서답 → 빨래. 8) 개복하고(改服─) : 옷을 갈아 입고. 9) 정신하고 : 정성 들이고. 10) 한색 : 안색(顔色)의 잘못인 듯. 11) 긴긴하고 : 시종여일 사랑하고. 12) 참실 : 참되고 실한. 13) 가이가이 → 과히과히. 14) 이 청(請). 15) 근청 → 근친(覲親) : 친정 어머니를 뵈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