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꽃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해군 장유면 유하리 후포의 꽃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길금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길금이 |
지역개관 | 경상남도 김해군 장유면 유하리 후포는 원래 뒷개마을이라고 불렸는데, 그 이유는 원래 마을 바로 앞 쪽이 바닷가였기 때문이다. 부마고속도로와 접한 마을로 교통은 대단히 편리한 편이다. 근래 농공단지의 개발로 공장이 많이 들어서 있다. 대부분 각성들이 살며, 53가구 정도이다. 그리고 민속놀이나 행사는 전혀 행하지 않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월 29일에 경상남도 김해시(김해군) 장유면 유하리 후포마을에서 채집한 꽃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길금이가 참여하였다. 꽃들의 특성을 노래로 읊은 것. 가창자는 이 노래를 친정에서 처녀 적에 배웠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결혼식을 할 때 꽃을 꽂고 노래를 하였다고 한다. 와전된 한문구가 많아 알아듣기 어렵다. |
가사 | 꽃이름 적기하야1) 화중에 목단화라
대명화는2) 해당화라 목단조지 행화로다3) 설리 춘풍4) 매화꽃튼 선배가5) 금패하고6) 향기하다7) 연화꽃튼 수중에도 연화로다 구월구월 국화꽃튼 추구월이 한철이요 지 한 철 폐리하고8) 화초 중에 몬 오는강 화초 접경9) 다 한 후에 만리한공10) 바라보니 지왕사 천만 호가 시내를 덮어 있고 양태사 흰 구름은 징갱이 남병타고 배경으로 올라 갔소 1) 적기하야(摘記 ─) : 요점만 뽑아 기록함. 2) 대명화 : 뜻 모름. 3) 목단조지행화 : 牧童遙指杏花村(목동요지행화촌)의 잘못인 듯. 당나라 두목(杜牧)의 청명시(淸明詩) 의 한 구절. 4) 설리 춘풍(雪裡春風) : 눈 속의 바람. 5) 선배 → 선비. 6) 금패하고 : 뜻 모름. 7) 향기하다 : 향기롭다. 8) 폐리하고 : 뜻 모름. 9) 접경 : 접견(接見)의 잘못인 듯. 10) 만리한공 : 만리 창공(萬里蒼空)의 잘못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