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술래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해군 서면 유포리의 나무등짐소리-술래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동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서동호 |
지역개관 |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유포리는 오래 전에 놋그릇쇠가 출토된 후 녹개라는 한글 이름으로 불리다가 유포로 바뀌었다. 116가구에 인구수는 300여 명이다. 김해 김씨, 경주 최씨, 현풍 곽씨, 진양 정씨, 남원 양씨 등이 섞여 있다. 반농반어의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연근해 어업이 금지됨에 따라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3개의 당산목이 있었으나 근년에 두 나무는 고사하고 주 당산목 하나만 남아 있다. 10월 보름에 제를 올린다. 남해읍으로 가는 버스가 시간당 한 대씩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8월 13일에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유포리에서 채집한 술래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동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산에서 나뭇짐을 지고 내려 오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전체적으로 노동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내용으로 엮어져 있다. |
가사 |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우리가 일하다가 어허 술래야 다리가 아푸이면 어허 술래야 못내리 간다네 어허 술래야 살살 몸조심을 어허 술래야 해감성 가세 어허 술래야 뒷산은 점점 어허 술래야 뚝 떨어 지고서 어허 술래야 앞산은 점점 어허 술래야 가까워 온다요 어허 술래야 다리가 아푸이면 어허 술래야 쉬자고 말하소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우리 집이 어허 술래야 가까워 온다네 어허 술래야 배도 고푸고 어허 술래야 다리도 아푸제 어허 술래야 이 자갈아 저리 가거라 어허 술래야 발질에 채인다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하이고 다리야 어허 술래야 아이구 어깨야 어허 술래야 쪼금만 전디게 어허 술래야 쉴장소 여거 온다 어허 술래야 우리가 일하다가 어허 술래야 쉬가도 모르겄다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여거 잠깐 쉬어가세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어허 술래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