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망깨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집터다지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해군 남해읍 아산리의 집터다지는소리망깨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태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이태영 |
지역개관 |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아산리는 뒷산이 마치 어금니를 닮았다고 해서 아산이라 부른다. 망운산 줄기에 둘러싸여 있고 남해읍까지 20분 정도 걸어야 버스를 탈 수 있다. 인동 장씨, 진양 정씨, 전주 이씨 등이 섞여 산다. 100가구에 인구는 300명 정도이며, 논농사가 대부분이지만 밭농사로 마늘 농사를 많이 한다. 그리고 단감나무, 유자 등을 한 가구에 20에서 30주 정도 소유하고 있다. 10월 14일에 당산제를 지내고, 1에서 8반까지 나누어 추석때는 줄다리기도 한다. 장수마을로 대단히 유명한데 특히 101세에 타계한 정석봉 옹은 100세를 넘긴 분이다. 현재에도 90세가 넘은 노인과 이에 가까운 노인들이 허다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8월 14일에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아산리에서 채집한 망꺠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태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저수지의 둑을 쌓을 때에 흙을 다지거나 집터를 다질 때 부르는 노래이다. 달구소리라고도 한다. 땅을 다지는 일은 집단적 노동이므로 이때 서로의 손발을 맞추고 일의 흥취를 돋구는 기능을 한다. 가창자는 농한기때에 집짓는 일을 따라 다니면서 이 노래를 자연스럽게 배우고 익혔는데 약 50년 전 즉 가창자가 30세 쯤에 마지막으로 불러보았다고 한다. |
가사 | 어허 여어라 망깨야
어허 여어라 망깨야 어허 여어라 망깨야 어허 여어라 망깨야 일심동력으로 맞아나 주소 어허 여어라 망깨야 쿵닥쿵닥 잘도나 찧네 어허 여어라 망깨야 여기도 찡코 저기도 찡코 어허 여어라 망깨야 고로고로 잘도 찧네 어허 여어라 망깨야 어허 여어라 달구야 어허 여어라 망깨야 쿵닥쿵닥 잘도 찧네 어허 여어라 망깨야 망깨소리를 잘 맞으며 어허 여어라 망깨야 시간 가는 줄 모르겄네 어허 여어라 망깨야 서산에 지는 저 해 어허 여어라 망깨야 양류사로1) 잡아나 매고 어허 여어라 망깨야 동령에 걸린 저 달 어허 여어라 망깨야 계수으게2) 머물러서 어허 여어라 망깨야 망깨나 많이 찧읍시다 어허 여어라 망깨야 어허 여어라 달구야 어허 여어라 망깨야 쿵닥쿵닥 잘도 찧네 어허 여어라 망깨야 노세노세 젊어서 놀아 어허 여어라 망깨야 늙어지면 못 노나니 어허 여어라 망깨야 화무는 십일홍이요 어허 여어라 망깨야 저 달도 차면 기우나니 어허 여어라 망깨야 인생일장 춘몽허니 어허 여어라 망깨야 아니 놀고 무엇헐꼬 어허 여어라 망깨야 어이 여어라 망깨야 어허 여어라 망깨야 낙양 사십리허에3) 어허 여어라 망깨야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어허 여어라 망깨야 영웅 호걸이 몇몇이며 어허 여어라 망깨야 절대가인이 그 누군고 어허 여어라 망깨야 우리도 늙어서 백발이 되면 어허 여어라 망깨야 저기 저 무덤 될 것이요 어허 여어라 망깨야 우리같은 초로 인생 어허 여어라 망깨야 풀잎 끝에 이슬이요 어허 여어라 망깨야 물 우에 버끔이라4) 어허 여어라 망깨야 바람 앞에 촛불이로구나 어허 여어라 망깨야 그만 찡코 쉬어나 봅시다 어허 여어라 망깨야 1) 양류사(楊柳絲) : 양류목(楊柳木)은 육십화갑자(六十花甲子)에서, 임오(壬午),계미(癸未)에 붙이는 납음(納音)임. 오미(午未),곧 마른 나무가 무덤에서 임계(壬癸), 곧 물을 만나니,다시 생기가 돋고 봄버들처럼 파란 싹이 트고 바람에 휘날린다는 말임. 여기서는 서산에 지는 해,곧 죽어가는 해를 생명의 나무, 곧 양류목으로 된 실로 붙들어 매어 시간을 정지시킨다는 뜻으로 쓴 것임. 2)계수(桂樹)으게 : 계수나무에. 3) 낙양 사십리허에 : 낙양성 십리허(洛陽城 十里許)에. 4) 버끔 : 거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