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밟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밀양군 산내면 임고리 발례의 모밟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의근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신의근 |
지역개관 | 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임고리 발례는 임고 가운데서는 가장 먼저 생긴 마을이다. 한자로는 필 발자에 예도 예자를 쓰며 예로부터 바이동이라고 불리웠으며, 지금도 발례라는 이름보다는 바이동이라고 불리어 마을 앞 쪽에 큰 바위가 있어 바위동이라고 불린데서 기원한다고 하지만 정확하게 마을 이름의 기원을 아는 이는 없다. 마을 가운데 물이 제법 흘러내리는 냇물이 있고 마을 외곽으로는 비가 오면 물이 흘러 내리는 건천이 있다. 하루 한 번 버스가 출입하고, 마울 앞쪽으로는 송백리로 통하는 도로가 있다. 31호 정도에 90여명의 인구가 있으며 영산 신씨가 가장 많고 김해 김씨가 다음으로 많으며, 나머지 여러 성씨들이 모여 살고 있다. 논농사는 그리 많지 않고 고추를 심는 비닐 하우스가 많으며 대추나무가 아주 많다. 1월 15일 새벽 5시 경에 당산나무 아래에서 당산제를 지내며 아직도 몇 몇 집에서는 신주단지를 모시고, 군 대항 및 도 대항 경연대회에서 입상할 정도로 풍물놀이가 성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2월 9일에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군) 산내면 임고리 발례에서 채집한 모밟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의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봄철에 모를 심기 전에 못자리를 고르면서 여럿이 풀이 돋은 못자리의 잡풀들을 캐서 뒤엎고 거름을 하고 그것을 밟으면서 하는 노래라고 한다. 다른 지역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 노래로서, 경연대회용 등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
가사 | 청명곡우 돌아왔다 갱자리 캐서 모밟자
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1) 모밟자 이라 자라 훌찡기2) 큰 머슴아 노루개 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우장 삿갓 곰방대 작은 머슴들 노루개 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올랑졸랑 조래기3) 정지꾼의 노루개 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진 담뱃대 쌈지는 우리 할부지 노루개 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우루룽 부루룽 물래질 우리 할매 노루개 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우리 아부지 노루개 지게 목발이 노루개 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우리 엄마 노루개 살림살이가 노루개 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 1) 노루개하고 : 노리개로 삼고. 2) 훌찡기 → 쟁기. 3) 조래기 → 조리 : 쌀을 이는 데 쓰는 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