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지신밝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밀양군 산내면 임고리 발례의 지신밟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의근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신의근 |
지역개관 | 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임고리 발례는 임고 가운데서는 가장 먼저 생긴 마을이다. 한자로는 필 발자에 예도 예자를 쓰며 예로부터 바이동이라고 불리웠으며, 지금도 발례라는 이름보다는 바이동이라고 불리어 마을 앞 쪽에 큰 바위가 있어 바위동이라고 불린데서 기원한다고 하지만 정확하게 마을 이름의 기원을 아는 이는 없다. 마을 가운데 물이 제법 흘러내리는 냇물이 있고 마을 외곽으로는 비가 오면 물이 흘러 내리는 건천이 있다. 하루 한 번 버스가 출입하고, 마울 앞쪽으로는 송백리로 통하는 도로가 있다. 31호 정도에 90여명의 인구가 있으며 영산 신씨가 가장 많고 김해 김씨가 다음으로 많으며, 나머지 여러 성씨들이 모여 살고 있다. 논농사는 그리 많지 않고 고추를 심는 비닐 하우스가 많으며 대추나무가 아주 많다. 1월 15일 새벽 5시 경에 당산나무 아래에서 당산제를 지내며 아직도 몇 몇 집에서는 신주단지를 모시고, 군 대항 및 도 대항 경연대회에서 입상할 정도로 풍물놀이가 성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2월 9일에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군) 산내면 임고리 발례에서 채집한 지신밟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의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초에 풍물패가 지신밟기 할 때 하는소리이다. 가창자는 연로한 나이에도 불구하고 성주풀이로부터 용왕풀이, 마구풀이, 당산풀이까지 전체의 내용을 연주하고 있어 지신밟기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다. |
가사 | <성주풀이>
지신아 지신아 성주 지신을 울리자 이 집에라 대주부인 성주 지신을 울리 놓고 몰아내자 몰아내자 잡귀잡신을 몰아내자 잡귀잡신 몰아내다 번개소멸 시키놓고 모시자 모시자 이 집 성주로 모시자 이 집 성주로 모실라머 성주본을 알어야지 경상도 안동땅에 제비원이 본이던강 제비원이 본 아니고 계수남기 본이로다 가까운 데 계수나무 그 나무가 솔씨 흘러 그 솔씨가 자라나서 소부동이 되었구나 소부동이 자라나서 대부동이 되었구나 대부동이 자라나서 황장목이 되었구나 황장목이 자라나서 이 집 성주 되었구나 성주본을 알았으니 성주님을 모시자 이 집에라 대주 부인 성주님을 모실라꼬 불명당에 불 밝히고 물명당에는 물 떠 놓고 눌리 떴다 금 청주요 석 달 열흘 백화주라 이 집에라 성주님요 빛틀 보고 응감하소 맛을 보고 응감하고 응감 많이 하옵시고 시키 주소 시키 주소 소원성취 시키 주소 비나이다 비나이다 성주님 전 비나이다 이 집에라 대주 식구 일 년하고 열두 달아 과윤하고 열 석 달아 삼백하고 육십 일에 시키 주소 시키 주소 안과태평 시키 주소 시키 주소 시키 주소 안과태평 잘 시키야 이 집에라 대주 식구 안과태평을 시키 주소 비나이다 비나이다 성주님 전 비나이다 이 집에라 아들딸로 부귀영화 시키 주소 검은 머리 백발토록 수명장수 시키 주소 동방삭에 명을 빌어 아들딸로 앤기 주소 석숭에 복을 빌어 아들딸을 앤기 주소 양귀비에 인물 빌어 일등미색 시키 주소 비나이다 비나이다 성주님 전에 비나이다 단명자는 수명 주고 무자에는 자공 주소 빈한 자는 부귀 주고 학생은 재주 주소 공무원은 진급 주고 무식자는 글을 주소 양귀비의 인물 주고 소진장의 귀빈 주여 시키 주소 시키 주소 검판사나 시키 주소 비나이다 비나이다 성주님 전 비나이다 이 집에라 아들딸로 효자동을 시키 주소 부모에는 효자동아 나라에는 충신동아 동기간에 우애동아 일가간에 화목동아 동네 안에 귀빈동아 억조창생 귀히 보소 억조창생 귀히 봐여 수명장수 시키 주고 억조창생 귀히 봐여 부귀영화 시키 주소 비나이다 비나이다 성주님 전 비나이다 이 집에라 대주 양반 이 집으로 지을 적에 어느 도사 내리와서 이 터전으로 잡았는고 무학도사 내리와서 이 터전으로 잡았구나 좌청룡 우백호요 우청룡 좌백호라 우백호는 감아들고 청룡은 물러나서 대기로다 대기로다 이 집터가 대기로다 이 집터가 생길 적에 명산정기 받았구나 곤룡산천 명산 줄기 압록강을 건디왔다1) 건디온 그 정기를 이 집터가 받았구나 백두산의 정기 받고 이 집터가 생깄구나 금강산의 정기 받아 이 집터가 생깄구나 계룡산의 정기 받고 이 집터가 생깄구나 삼각산의 정기 받아 이 집터가 생깄구나 계룡산천 정기 받고 이 집터가 생깄구나 전라도라 들어가면 지리산도 명산이다 지리산천 정기 받고 이 집터가 생깄구나 충청북도 들어가여 단양군 영춘면에 명산이다 명산이다 소백산도 명산이다 소백산의 정기 받고 이 집터가 생깄구나 그 산 저 산 휙 둘러서 밀양땅에 다다르니 상남면에 건디가머 종남산도 명산이다 종남산의 정기 받아 이 집터가 생깄구나 부북면에 들어가머 화각산도 명산이다 화각산의2)정기 받아 이 집터가 생깄구나 밀양 산내 들어오머 천왕산도 명산이다 천왕산의 정기 받고 이 집터가 생깄구나 밀양 단장 들어가머 재약산도 명산이다 재약산의 정기 받고 이 집터가 생깄구나 밀양산내 들어가머 용두산도 명산이다 용두산의 정기 받아 이 집터가 생깄구나 터야터야 이 집터야 용두산 정기 받았으니 이 집에라 대주 양반 부귀영화 시키 주고 이 집에라 대주 식구 수명장수 시키 주소 비나이다 비나이다 성주님 전에 비나이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성주님 전 비나이다 잡귀잡신은 물알로 만복수복은 이리로 1) 건디왔다. → 건너왔다. 2) 화각산 → 화악산(華岳山) : 부북면에 있는 산. 932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