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써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밀양군 산내면 용전리 오치의 풀써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위갑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김위갑 외 |
지역개관 | 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용전리 오치는 일반적으로 현지의 사람들은 마을 이름을 오태라고 한다. 한자로는 까마귀 오자와 고개 치자를 쓴다. 원래 이 마을에는 까마귀가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고 전한다. 해발 350여 미터나 되는 고산지로 왕래하는 버스는 전혀 없으며 마을에 있는 자가용 승용차와 트럭 등을 이용한다. 성씨로는 달성 서씨가 중심을 이루며, 다음으로는 청도 김씨가 많다. 18호 정도에 인구는 40여명인 아주 작은 마을이다. 아주 높은 고산지이지만 마을에서 100여 미터 떨어진 아래쪽으로 제법 큰 저수지가 있어 논농사를 할 수 있으며, 배추나 무우 등을 중심으로 한 고냉지 채소의 생산을 주 수입원으로 삼고 있다. 9월 그믐 밤 12시경에 당산제를 지내며 바람을 올리는 집도 몇 집 있고 성주단지나 조왕신을 모시는 집도 아직 상당수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2월 11일에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군) 산내면 용전리 오치에서 채집한 풀써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위갑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작두로 풀을 썰면서 하는 노래이다. 풀을 썰어 외양간에 넣었다가 논밭에 거름으로 낸다. |
가사 | 오호호 작두야
오호호 작두야 작두소리도 잘도 한다 오호호 작두야 산천초목 풀을 비어 오호호 작두야 하나 두얼 모은 친구 오호호 작두야 이 작두로 썰이다가 오호호 작두야 논밭에다 내어다가 오호호 작두야 하나 두얼 모은 곡식 오호호 작두야 너도 묵고 나도 묵고 오호호 작두야 먼데 사람 구경 좋게 오호호 작두야 젙에 사람은 구경 좋게 오호호 작두야 하나 두얼 모은 친구 오호호 작두야 오늘 저녁에 여게서 놀고 오호호 작두야 니얼 저녁에는 어데서 놀꼬 오호호 작두야 오호호 작두야 오호호 작두야 작두소리도 잘도 한다 오호호 작두야 너도 묵고 나도 묵고 오호호 작두야 어허 친구 잘도 논다 오호호 작두야 오호호 작두야 오호호 작두야 작두소리도 잘도 한다 오호호 작두야 하나 두얼 모은 소리 오호호 작두야 먼데 사람 듣기 좋게 오호호 작두야 젙에 사람은 구경 좋게 오호호 작두야 하나 두얼 모은 사람 오호호 작두야 오늘 저녁에 여게서 놀고 오호호 작두야 내얼 저녁에 어데서 놀꼬 오호호 작두야 작두고리도 잘도 한다 오호호 작두야 사람은 많고 소리는 적다 오호호 작두야 작두소리 울려 주소 오호호 작두야 이 논에다 모를 숨가 오호호 작두야 너도 묵고 나도 묵고 오호호 작두야 칭칭시하 다 먹는소리 오호호 작두야 얼씨구나 잘도 논다 오호호 작두야 절씨구나 잘도 논다 오호호 작두야 얼씨구 절씨구 오호호 작두야 청천하늘에 잔별도 많고 오호호 작두야 요내 가슴에 수심도 많다 오호호 작두야 하나 두얼 모안 소리 오호호 작두야 기운 있기도 울려 주소 오호호 작두야 작두소리 잘도 하네 오호호 작두야 포롬포롬 봄배추는 오호호 작두야 봄비 오기만 기다리고 오호호 작두야 옥 안에 갇힌 춘향이는 오호호 작두야 이도령 오기만 기다린다 오호호 작두야 석 자 수건 목에 매니 오호호 작두야 삼혼이 흩어지고 오호호 작두야 칠백1) 나는도다 오호호 작두야 금낭에2) 옥지환은 오호호 작두야 정절하고 정절하다 오호호 작두야 정배한3) 이내 마음 오호호 작두야 옥지환 짝을 지어 오호호 작두야 천년인들 변할소냐 오호호 작두야 원수로다 원수로다 오호호 작두야 옥락목이4) 원수로다 오호호 작두야 제 욕심만 채울라꼬 오호호 작두야 남에 정을 끊단 말가 오호호 작두야 석 자 수건 목에 매니 오호호 작두야 삼혼이 흩어지고 오호호 작두야 칠백이 나는도다 오호호 작두야 금낭에 저 줄배는 오호호 작두야 정절한도 정절하다 오호호 작두야 정풍에 오락가락 오호호작두야 1) 삼혼칠백(三魂七魄) : 혼백, 곧 사람의 정신을 이르는 말. 2) 금낭(錦囊) : 비단 주머니. 3) 정배 : 배필을 정함. 4) 옥락목 : ?. 사람 이름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