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지신밝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밀양군 단장면 법흥리 법산의 지신밟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손득현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앞소리/손득현 |
지역개관 | 경상남도 밀양군 단장면 법흥리 법산은 법구, 법기, 법산 등으로 불리며, 버스는 하루에 4회 왕복한다. 밀성 손씨와 의령 남씨 등이 많으며 27여가구에 100여명의 인구다. 논농사와 대추, 고추, 딸기등의 특수작물도 하는데, 이 중 대추와 딸기가 주산물이다. 지금도 정월 보름에는 당산제를 올리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2월 18일에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군) 단장면 법흥리 법산에서 채집한 지신밟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손득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풍물패가 정초에 집집이 돌아다니며 지신밟기를 하면서 하는 성주풀이. 성주풀이 내용은 성주의 내력을 이야기 하는 것인데, 성주의 신이한 탄생과 성장은 신격화되어 있으나, 나머지 내용은 모두 인간적 행위의 한 부분처럼 거의 신격화되지 않고 있음이 특이하다. |
가사 | <성주풀이>
지신아 지신아 지신 밟아 눌리자 천년 성주 만년 성주 성주 근본 알아 보자 성주 부친 개화부요 성주 모친은 옥질부인 성주 부인 거동 보소 영감이 사십인데 한 점 혈육 전혀 없어 불공이나 드려 보자 명산대천 찾어가서 사면으로 살펴 보니 산도 좋고 물도 좋은데 백일기도 드려 보자 한 달 가고 두 달 가니 동짇달이 화초로다 세월이 여루하야 일삭이 잠시로다 열 삭이 지나가니 귀동자가 탄생하네 금자동아 옥자동아 칠기동산 보배동아 금을 준들 너를 사랴 옥을 준들 너를 사랴 사랑 사랑 내 사랑아 어허 둥둥 내 사랑아 귀동자 이름 질 때 어느 누가 지었을꼬 우리나라 임금님이 성주라꼬 불렀다고 이 성주 거동 보소 금실금실 장성하야 글공부에 힘 쓸라꼬 칠 세부터 글을 배워 십오 세에 통달하니 세상 천지 만물 통지 우리나라 임금님이 귀양 가라 영이 내려 은하수 질꾼1) 받아 이 글 저 글 띄어 놓고 삼 년 묵을 양석 실고 삼 년 입을 옷을 실어 아버님요 잘 계세요 어머님요 잘 계세요 부모형제 잘 있으소 불초 성주 귀양가요 이물에 임사공아 고물에 고사공아 술렁술렁 배 저어 가자 황토섬을 찾아 가자 세월이 여루하야 황토섬에 도착하니 산도 설고 물도 설고 까막깐치 더욱 섧다 새야 새야 청조새야 나에 고향을 가거들랑 성주는 잘 있다고 소식이나 전해 도고 가랑잎을 종이 삼고 솔갱이로 붓을 삼아 만리 장성 원정지에 청로새 살에 묶았더니 두 날개를 훨훨 날라 나에 고향을 가건마는 나는 언제 춘풍 만나 고향으로 돌아갈까 세월이 여루하야 고향 땅에 돌아왔소 아버님요 잘 계셨소 어머님요 잘 계셨소 고향산천 잘 있었나 불초 성주 돌아 왔다 귀양살이 삼 년만에 솔씨 서 말 줏어다가 뒷동산에 올라가서 이 등 저 등을 흩쳤더니 밤이 되면은 이슬 맞고 낮이 되면은 태양 받아 금실금실 자라나서 행자목이2) 되였구나 행자목이 자라나서 황장목이 되였구나 앞 집에 김대목아 뒷 집에 박대목아 좋은 연장 골라 매고 재목 내로 가여 보자 뒷 동산에 올라가서 사면을 살펴 보니 까막까치도 곧은 나무 칠중으로 둘러 섰네 김대목 거동 보소 박대목 거동 보소 연장 망태 땅에 놓고 갓도 벗어 낭게 걸고 옷도 벗어 낭게 걸고 명주 수건 둘러 쓰고 =---------에다가 향초 한 대 피여 물고 내 톱 너 톱 가져다가 나무 뿌리에 걸어 놓고 땡기 주소 톱질이야 밀어 주소 톱질이야 그 나무 눕는소리 천지가 진동한다 앞 동네 두민들아3) 뒤 동네 초패들아4) 목 마르면 술을 먹고 배 고프면 밥을 먹고 =--------하였다가 넓은 땅에 놓아 주소 지신아 지신아 지신 밟아 눌리자 <조왕풀이> 지신아 지신아 지신 밟아 눌리자 모시 보자 모시 보자 조왕님을 모시 보자 조왕님을 모실라꼬 좋은 날을 가리 받아 =-------- 기도하고 오색토 금토 놓고 상탕에 모욕하고 하탕에 손발 씻고 비나이다 비나이다 조왕님 전에 비나이다 용왕국에 계신 조왕 우리 조선 나올 적에 일엽선 배를 모와 대천 바다 띄워 놓고 일엽선 배를 타고 대한민국 나왔는데 약수가 삼천리요5) 상기 받아 삼만리라 우리 조선 나올 적에 화덕 전에 자중하고6) 자중하던 조왕님네 금토 갑신에7) 조왕님아 그 약을 먹고 비옵니다 조왕님 전에 비나이다 물명당에 불 밝히고 조왕님 전에 비나이다 물명당에 불을 밝혀 조왕님 전에 비나이다 그 중에 선녀 앉아 조왕님 전에 춤을 춘다 이 집에 정절부인 동서남북 가시거든 넘우 눈에 꽃이 되고 손님마다 복을 주소 일년 삼백 육십 오일 하루같이 점지하소 잡구잡신은 물러 가고 만복은 이리 오소 1) 질꾼→길군;길에 익숙한 사람 2) 행자목(行者木);될성부른 어린 나무 3) 두민(頭民);동네의 나이가 많고 식견이 높은 사람 4) 초패;초동패(樵童--). 즉 땔나무를 하는 아이들 5) 약수삼천리(弱水三千里) : 약수는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적인 강. 길이가 삼천 리나 되며, 부력(浮力)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 6) 자중하고→좌정하고(坐定--);앉고 7) 금토갑신(金土甲神) : 조왕신을 이른 말. 조왕신은 부엌을 다스리는 신이므로 쇠로된 솥과 흙으로 된 부뚜막을 형상화하여 만든 말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