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릇 깬 며느리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삼천포시 늑도동의 시집살이노래-그릇 깬 며느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호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호점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삼천포시 늑도동은 구리섬(굴섬)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섬에 구렁이가 많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3개의 유인도와 1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인도인 학섬은 천연 기념물 백로 및 왜가리 서식지로도 유명하다. 지금도 섣달 그믐날에는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7월 30일에 경상남도 사천시(삼천포시) 늑도동에서 채집한 그릇 깬 며느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호점이 참여하였다. 시집살이노래의 한 유형인 양가매 깬 이야기에 시집살이에 못견뎌 머리깎고 중이 되는 이야기가 섞여 있는 시집살이노래이다. |
가사 | 한 살 묵어 애미 죽고 두 살 묵어 애비 죽고
이럭저럭 커 가주고 시집이라고 가논께나 시접 간 샘일만에 참깨 닷 말 들깨 닷 말 두닷 말로 볶고 난께 양동우도 벌어지고 양가매도 벌어지네 아강아강 매늘아강 느그 집에 자주 가서 쇠비쟁기를1) 다 폴아도 양가매 양동우 사 오니라 시어마니 거동을 봐라 종지코로 홀짝임서 봉애눈을2) 부리뜸서 잠다리로3) 질쑥임서 곰배풀로 찔쑥임서 너그 집에 자주 가서 세비쟁기를 다 폴아도 양가매 양동우로 사 오니라 깎고 깎고 머리를 깎고 중놀이를 내 나가네 깎아 주소 깎아 주소 이내 머리를 깎아 주소 한쪽 머리 깎고난께 치매 앞이 젖었고나 두쪽 머리를 다 깎고 난께 눈물강이 되었고나 오리야 기고야4) 니 놀 데가 그리 없어 눈물강에 가 니가 노나 1) 쇠비쟁기 : 쟁기. 쇠비─는 쇠로 볕을 단의 뜻인 듯. 2) 봉애눈 → 붕어눈 : 툭 튀어 나와 못 생긴 눈. 3) 잠다리 : 한쪽이 짧은 다리. 4) 기고야 : 거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