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안을수, 배성남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안을수, 배성남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는 오후 마을과 오전 마을의 가운데 위치하고 있어 중촌이라고 하였다고 전해진다. 한 시간 정도의 단위로 버스가 들어 오지만 전체적으로는 하루에 일곱 번의 왕래가 있을 뿐이어서 다소 불편하다. 60가구에 130여 명의 인구이며, 남양 홍씨가 20가구 정도이고 순흥 안씨가 15가구 정도가 된다. 대부분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으며, 버섯 재배로 소득을 올리고 있는 집이 두 가구 정도 뿐이다. 정월 초 사흩날부터 보름까지 지신밟기를 하며, 면민체육대회때는 줄당기기도 한다. 그리고 대다수의 집에서 아직까지 음력 이월에 바람올리기를 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4월 1일에 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안을수, 배성남이 참여하였다. “다풀다풀 다박머리 ”로 시작된 모심는소리는 경남지역에서 널리 불리워졌다. 대부분 마을에선 “ 젖 묵으로 나는 가요”까지만 불렀으나 이곳에서는 3행의 사설이 더 있는게 특징이다. |
가사 | 다풀 다풀 다박머리 해 다진 데 어데 가노
울 어머니 산소등에 젓 묵으로 나는 가요 죽은 엄마 젖이 있나 산 부모가 젖이 있지 큰 솥에라 앉힌 밥이 싻이 나믄 젖이 나요 동솥에라 앉힌 닭이 회를 치믄 젖이 나요 이 논빼미 모를 숨거 장잎 훨훨 영화로세 우리 동생 곱기나 길러 갓을 씌워 영화로세 서 마지기 논빼미는 반달같이 숨거 가네 니가 무슨 반달이냐 초승달이 반달이지 초승달만 반달이가 그믐달도 반달이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