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의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20401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남도 > 산청군 |
생산지역 상세 | 오부면 중촌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우리엄마는어데를가고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경상남도 , 경남 , 산청군 , 1992 , 1994 ,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 , 정필순 , 독창 , |
실연자 | 정필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필순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는 오후 마을과 오전 마을의 가운데 위치하고 있어 중촌이라고 하였다고 전해진다. 한 시간 정도의 단위로 버스가 들어 오지만 전체적으로는 하루에 일곱 번의 왕래가 있을 뿐이어서 다소 불편하다. 60가구에 130여 명의 인구이며, 남양 홍씨가 20가구 정도이고 순흥 안씨가 15가구 정도가 된다. 대부분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으며, 버섯 재배로 소득을 올리고 있는 집이 두 가구 정도 뿐이다. 정월 초 사흩날부터 보름까지 지신밟기를 하며, 면민체육대회때는 줄당기기도 한다. 그리고 대다수의 집에서 아직까지 음력 이월에 바람올리기를 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4월 1일에 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에서 채집한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필순이 참여하였다. 열두달의 절기가 나열되는 달거리의 형식 속에 부모를 그리워 하는 내용이 담긴 노래이다. |
가사 | 윤동짓달 열초삿날 모녀 간장 깊은 정을
싫은 듯이 이별하고 이내 나를1) 세어 보니 열하고도 한 살이네 그 달 그믐 다 지내고 새 달 초승이 또 다아오네2) 섣달이라 그믐날은 만인 생일 만중3) 생일 새 옷 입고 새를 가지자 머리 목욕을 정히 하고 섣달 그믐날 불을 키여 가정마동 밝혀 놓고 새 해 맞이를 하시는데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 새해 맞이를 모르신고 어마 노던 창문 밖에 유달시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는 선신이 없고 흔적없이도 앉았구나 그달 그믐 개우나 가고 정월 하단이4) 또 돌았네 정월이라 초 하룻날 세계 각국에 만중 생일 새 의복을 갈아 입고 선주거게도5) 시비 옇고6) 부모님 전에도 시비한데 우리 부모는 어데 가고 시비하실 줄 모르신고 어마 노던 창문 아래 유달시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 선신하실 줄 모르신고 그달 그믐 개우나 가고 새 달 초하가7) 돋아왔네 이월이라 초하룻날 뜨럭 밑에 유두 꽃은 유디 유디나 피어난데 우리 엄마는 어데 가고 피어날 줄 모르신고 엄마 노던 창문 아래 유달시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 어데를 가고 선신하실 줄 모르신고 그 달 그믐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또 다아왔네 삼월이라 삼짓날은 강남서라 드간 제비 나온다고 선신하고 지리산에 갈가마귀 드간다고 선신하고 어마 노던 창문 아래서 유달시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 선신할 줄 모르신고 그달 그믐이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또 다아오네 사월이라 초파일에는 세계 천지 절간마동 등을 달아 불을 켜고 학당마당8) 낙화 달아 낙화9) 불이 밝히신데 어마 노던 창문 아래 유달시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는 어데 가고 선신할 줄 모르시요 그달 그믐이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다시 왔네 오월이라 단오일에는 세계에도 만중 생일 청실홍실 군대를10) 매어 뛰어나자 나시는데 어마 노던 창문 아래 유달시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 선신할 줄 모르신고 그 달 그믐이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다시 왔네 유월이라 유디에는 세계에도 만중 생일 논길마동 밭길마동 용신제를11) 하시는데 우리 엄마 어데 가고 용신하실 줄 모르시네 그 달 그믐이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또 다아왔네 칠월이라 칠석에는 하늘에도 견우직녀 밤중 자시에 만나자꼬 수작한데 우리 엄마 어데를 가고 수작하실 줄 모르시네 엄마 노던 창문 아래 유달시고 선신하네 그 달 그믐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또 다아왔네 팔월이라 한가엣날 들기경을 가자시네 곳곳마당 들들마당 나랙짚이 우거진데 우리 엄마 어데를 가고 한가우 찾을 줄 모르신고 엄마 노던 창문 아래 유하시고 선신하네 그 달 그믐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돋아왔네 구월이라 구일날은 강남서라 나온 제비 드간다고 선신하고 지리산에 갈가마귀 나온다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 어데를 가고 선신하실 줄 모르시네 엄마 노던 창문 아래 유달시고 선신한데 그 달 그믐이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또 다아왔네 시월이라 시월날은 만중생이 농사지어 새 곡식니 떡을 하여 오신도신을 하자신데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 도신하실 줄 모르신고 엄마 노던 창문 아래 유달시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 어데를 가고 선신하실 줄 모르시네 그 달 그믐 개우 가고 동지 한 달이 또 다아왔네 세계 천지 만중생들 뽀글뽀글 팥죽을 낋이 생알 옇고 낋인 팥죽 조상님 전에 발원한데 우리 엄마는 어데 가고 동지 발원을 모르신고 엄마 노던 창문 아래 유달시고 선신한데 우리 엄마는 어데를 가고 선신하실 줄 모르신고 그 달 그믐 개우 가고 새 달 초승이 또 다아왔네 섣달이라 그믐날은 형체 덩치도 간 곳 없고 만고풍상이 허사로다 1) 나 → 나이. 2) 다아오네 → 다가오네. 3) 만중(萬衆) : 모든 중생(衆生). 4) 하단 : 한 달이의 잘못인 듯. 5) 선주거게도 : 성주님에게도. 6) 시비 옇고 : 시비는 세배, 옇고는 넣고란 뜻. 여기서 세배는 세배돈, 즉 신에게 바치는 세배돈을 뜻함. 7) 초하 : 초하루인 듯. 8) 학당마당(學堂─) : 서당(書堂)마다. 9) 낙화(落火) : 낙화놀이. 선비들의 뱃놀이나 시회(詩會) 때, 또는 사월 초파일, 대보름밤 등에 행해 지던 불꽂놀이. 10) 군대 → 그네. 11) 용신제(龍神祭) : 유월 유두날 논가에서 용신에게 풍년을 빌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