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이어르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의 아이어르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필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필순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는 오후 마을과 오전 마을의 가운데 위치하고 있어 중촌이라고 하였다고 전해진다. 한 시간 정도의 단위로 버스가 들어 오지만 전체적으로는 하루에 일곱 번의 왕래가 있을 뿐이어서 다소 불편하다. 60가구에 130여 명의 인구이며, 남양 홍씨가 20가구 정도이고 순흥 안씨가 15가구 정도가 된다. 대부분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으며, 버섯 재배로 소득을 올리고 있는 집이 두 가구 정도 뿐이다. 정월 초 사흩날부터 보름까지 지신밟기를 하며, 면민체육대회때는 줄당기기도 한다. 그리고 대다수의 집에서 아직까지 음력 이월에 바람올리기를 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4월 1일에 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에서 채집한 아이어르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필순이 참여하였다. 어린 아이를 안거나 업고 어르면서 부르는 것이다. 아이의 생김새를 물건에 비교하면서 잘 생겼다고 흐믓해한다. |
가사 | 에헤 사랑 사랑 내 사랑아 어허둥둥 내 사랑아
앞으로 보아도 내 사랑아 뒤로 보아도 내 사랑아 어허 둥둥 내 사랑아 하해같이도 높은 사랑 기와 같이도 넓은 사랑 어허 둥둥 내 사랑아 이리 보아도 내 사랑아 저리 보아도 내 사랑아 나라거게는 충신동아 부모거게는 효자동아 집안간에는 화목동아 남편한테는 열녀동아 어허 둥둥 내 사랑아 이리 보아도 내 사랑아 저리 보아도 내 사랑아 높은 남게는 할가지요1) 낮은 남개는 젙가지요 어허 둥둥 내 사랑아 도복을2) 입고 섰던가 훤출하기도 생깄구나 양푼전에를 갔던가 두리도펀펀히3) 생기었네 더부전에를4) 갔던가 네모도 번듯 생기었네 수박전에를 갔던가 두리도둥굴 생기었네 어허 둥둥 내 사랑아 얼씨구나 절씨구나 요렇기 좋은 일은 논 팔겄네 1) 할가지 : 제보자는 큰 가지라고 설명함. 2) 도복(道服) : 도포(道袍)를 이름. 3) 두리도펀펀히 → 둥글넓적이. 4) 더부전 : 두부를 파는 가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