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산청군 신안면 안봉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추분, 권임조, 정숙난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권추분, 권임조, 정숙난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안봉리는 편안할 안자에 묏 봉자를 쓰는데, 6.25 때도 인명의 피해가 전혀 없었으며 전염병과 괴질도 전혀 없고 난리를 만난 적도 전혀 없다고 전해진다. 예전에 어떤 점술가가 대성산 아래의 안자 붙은 마을은 편안할 것이다라고 예언하여 마을 이름으로 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방학과 일요일을 제외하고 마을버스가 하루에 세 번씩 들어오고 학생들의 등교 시간도 달리 조절할 정도로 교통이 불편하다. 42가구에 126명 정도가 살고 있으며, 남평 문씨가 21가구로 가장 많다. 대부분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고, 밤 수확을 부업으로 하여 약간의 소득을 얻고 있다. 당산제는 원칙적으로 섣달 그믐날 새벽 녘에 지내지만 동네의 길흉사에 따라 다소간의 변화가 있다. 정월 보름에 지신밟기와 달집태우기 등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4월 2일에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안봉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추분, 권임조, 정숙난이 참여하였다. 모를 찌고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소리로 가창자에 따르면 아침노래와 점심노래와 점심 먹고 첫거리노래, 그리고 오후노래와 해거름노래로 구분된다고 한다. |
가사 | 해돋았네 일어나소 세살 동창 해 돋았소
한삼 소매로 낯틀 덮고 자는 듯이 가고 없네 아첨 이슬로 채전밭에 불똥 꺾는 저 큰아가 불똥이사도1) 꺾네마는 고분 홀목 다 젖는다 오늘 해가도 다 졌는가 까막깐치 떼를 지와 잔솔 밭을 후아 드네 처녀 총각이 쌍을 지와 골방 안으로 자로 든다 칠성당 까마귀 깍깍 울고 임으야 병세 짙어 오네 임오 물팍을 마주 베고 임도야 울고 나도 우네 1) 불똥 → 부룻동 : 상치의 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