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올라감성 올깨아리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의 시집살이노래-올라감성 올깨아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20403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남도 > 산청군 |
생산지역 상세 | 시천면 신천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5 , 시집살이노래 , 올라감성올깨아리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경상남도 , 경남 , 산청군 , 1992 , 1994 , 올라감성 올깨아리 , 임경애 , 독창 , |
실연자 | 임경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임경애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는 예전부터 지금까지 행정명으로 부르지 않고 모두 새내라고 한다. 그러나 젊은이들은 이 명칭을 잘 모른다. 부산과 마산, 진주로 통하는 직행이 하루에 26번 정도 다니고 있어 교통의 불편은 없다. 22가구에 150명 정도의 인구로 하동 정씨 등 모두가 각성이다. 논농사 외에 밤과 감을 수확하고 벌을 치기도 하는데, 실제 소득은 대나무에서 가장 많이 나온다. 그러나 요즘은 플라스틱 제품에 밀려 이나마 소득이 많이 줄었다. 6.25 이후 당산제를 착실히 지내고 있다. 그리고 이월 초하루가 되면 집집마다 바람을 올리고, 장독대를 청소하고 그 앞에서 빌기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4월 3일에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에서 채집한 올라감성 올깨아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경애가 참여하였다. 고사리를 뜯어다 반찬을 해 주어도 시집식구들이 푸대접을 하더라는 시집살이노래이다. 심심할 때나 밭맬 때, 논맬 때 불렀다고 한다. 뒤에 “에라 요거 요망한 거 문 닫아라 잠 잘란다” 하는 대목이 있다. 이 지역의 전통적인 곡조가 아닌 창부타령조의 곡조다. |
가사 | 올라감성 올깨아리1)
내리감성 늦깨아리 아깍 자깍 끊어다가 동솥에다 살큼 데쳐 시아바니 상엘라큰 첩첩 반상을 끼미 놓고 시어마니 상엘라큰 홋첩 반상을 끼미시고 우러 님의 상엘라큰 칠첩 반상을 끼미시고 시누애기 상엘라큰 두루두루 차리시고 한 손에 물 떠 들고 영창문을 반만 열고 어무님도 일어나서 세수하고 진지하소 1) 올깨아리 → 올고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