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무꾼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산군 하북면 지산리 평산의 나무꾼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말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말수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지산리 평산은 원래 부디(부도)마을 또는 당골이라 불렸는데 탑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통도사가 있는 마을이다. 교통편은 한 시간에 한 번 버스가 들어와서 그다지 불편함은 없는 곳이다. 뚜렷한 성씨가 없이 여러 성이 어울려 사는 마을로 40여호에 80여명이 산다. 거의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으며 매년 정월 보름 밤 10시에서 11시 사이에 당산제를 지내고 있으며, 통도사가 있는 마을이라 거의 모두가 불교 신자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월 17일에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 하북면 지산리 평산에서 채집한 나무꾼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말수가 참여하였다. 어산영은 나무꾼들이 신세타령으로 부르거나 농군들이 김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가창자는 산에 나무를 하러 가거나 나물을 캐러 가서 주로 불렀다고 한다. 말을 촘촘히 붙이다가 길게 뽑기도 하는 등 불규칙하여 자유리듬에 가깝다. |
가사 | 울 엄마야 울 엄마야
산 높으고 골 짚은데 어이 월출동령에 달이 솟고 일락서산에 해 떨어지고 어이 치받아 보니 만학천봉이고1) 낼바다 보니 칭암절벡2) 어이 울 엄마는 어데 가고 오이 날 찾을 줄 모르는고 까막까치도 해가 지믄 은제 놋제로3) 가리 물고 잔솔밭을 다 지내고 오이 굵은 솔밭을 찾아들고 오이 물 밑에 송애4) 새끼 바우 밑을 찾아 든데 어이 울 엄마는 어데 가고 날 찾을 줄 모르는고 울엄마야 울 엄마야 어이 허꼬 밤은 침침 야삼경에 이화월백 적막한데 어이 야월 공산에 두견 울고 오이 울 엄마는 어데 가고 엄마 엄마 부르치니 한번 불러 대답 없고 오이 두번 불러도 대답 없고이 삼시번을 거듭 치니 산이 마치 대답한다 울 엄마야 울 엄마야 1)만학천봉(萬壑千峰). 2)층암절벽(層巖絶壁). 3)은제 놋제: 은젓가락 놋젓가락. 여기서는 까치가 나뭇가지를 물고 집으로 날아가는 모습을 묘사한 것. 4)송애: 붕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