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사용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임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산군 하북면 지산리 평산의 나물하는소리-어사용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말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말수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지산리 평산은 원래 부디(부도)마을 또는 당골이라 불렸는데 탑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통도사가 있는 마을이다. 교통편은 한 시간에 한 번 버스가 들어와서 그다지 불편함은 없는 곳이다. 뚜렷한 성씨가 없이 여러 성이 어울려 사는 마을로 40여호에 80여명이 산다. 거의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으며 매년 정월 보름 밤 10시에서 11시 사이에 당산제를 지내고 있으며, 통도사가 있는 마을이라 거의 모두가 불교 신자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월 17일에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 하북면 지산리 평산에서 채집한 어사용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말수가 참여하였다. 산에 가서 나물을 뜯으면서 부른 노래이다. 내용은 나물에 관한 내용과 님을 잃고 방황하는 자신의 신세에 대한 한탄이다. |
가사 | 곤들곤들 곤달비야 반들반들 반달빈가 어에
빛 좋다 참나물 이름 좋다 이밥 나물 그래 좋다 활나물아 써언타 벌방아야 “이럭허다 인제 신세타령이 나오거든 ” 아이고 아이고 하늘이 높다 해도 으어으어으에 삼사오경에 찬 이실 오고 북만줌을 당해 놓이 봉천행이 왕래허고 한양 천리 머다 캐도 지대 급행이 왕래허고 일본 동경 멀다 캐도 물 우에 연락이 떠 어이 물밑을 말이 오고 어어이 강남이 멀다 캐도 삼월 동풍에 연자 오고 오 오에 황천은 멫 만리가 되걸래 한 번 가니 몬 오는고 왕소초 풀이 되어 봄바람에나 오실가 어아어에 화포천룡 신선되어 학을 타고 오실가 어어에 한 번 가니 소식이 막연헌데 뒷동산 고목 남기 봉기를 치머 온다더니 그 꽃이 점점 낙화되어 어아 어에 열매가 열어도 아니 오고 어어 어에 화봉에 인사절하니1) 병이 들어 몬 오는가 화봉에 다기봉하니2) 어이 봉이 높아 몬 오는가 우에 그리 몬 오는고 무정한 이 세월을 늙은 사람은 아니 가고 오오 어에 젊은 청춘 와 데리 가고 어이 소식이 막연한고 1) 화봉(花峯)에 인사절(人事絶)하니. 2) 화봉(花峯)에 다기봉(多岐峯)하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