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징금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산군 하북면 답곡리 성천의 징금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말례, 김옥필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말례, 김옥필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답곡리 성천에서는 수리 바우라고 하는 바위가 마을 앞 쪽에 위치하였다고 전해지며, 이 수리바우에서 성천이라는 이름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북쪽으로 통도사가 가까우며 남으로는 내원사가 가까이 있다. 순흥 안씨와 경주 김씨 등이 가장 많다. 약 45호 정도에 100여명이 산다. 비닐하우스 농사로 오이나 토마토를 많이 재배하며 콩 등의 잡곡도 조금 생산한다.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 12시가 넘어서 당산제를 지내고 있으며 예전에 행해지던 여러가지 민속놀이는 전혀 행해지지 않고 있으며, 평산마을처럼 불교도가 대부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6년 1월 7일에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 하북면 답곡리 성천에서 채집한 징금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말례, 김옥필이 참여하였다. 진금이, 징금이, 징거미 등의 명칭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제보자는 없다. 그러나 노래의 형식은 거의 같다. 서로 몸짓으로 흉내춤을 추며 여러사람을 웃기는게 특징이다. 8분박 4박자로 자진몰이 장단에 맞는다. 두 장단 길이로 부르면 다섯 장단으로 대답한다. |
가사 | 야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 놔라
아따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주꾸마 내 머리를 팔어서 달기전에1) 팔어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아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주꾸마 내 눈을 비어서 안경전에 파더라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아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주꾸마 내 코를 비어서 임석전2) 에 파더라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아따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내 귀를 비어서 깟신전에3) 팔어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아따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내 입을 비어서 앵금통에4) 팔어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야 이눔아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 놔라 아따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주꾸마 내 목을 비어서 장군이 마개로 해여도 니 돈 석 냥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내 폴을 비어서 까꾸리전에 팔어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아따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내 다리를 비어서 깨이전에5) 팔어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아따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내 몸을 비어서 벌통전에 파더래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내 창시를6) 비서 빨래줄전에 팔어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아따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내 불알을 비어서 망태전에 파더라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아따 이눔우 진금아 내 돈 석 냥 내놔라 아따 이눔우 진금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내 꼬치를 비어서 도굿대전에7) 팔어도 니 돈 석 냥 내 주꾸마 1) 달기전 : 달비전의 잘못인 듯. 달비는 다리의 사투리. 2) 임석전 : 음식전. 음식가게 3) 깟신전 : 갖신 가게. 즉 가죽신 가게. 4) 앵금 → 해금. 5) 깽이전 : 괭이 가게. 6) 창시 : 창자. 7) 도굿대 → 절굿공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