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산군 하북면 답곡리 성천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선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선수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답곡리 성천에서는 수리 바우라고 하는 바위가 마을 앞 쪽에 위치하였다고 전해지며, 이 수리바우에서 성천이라는 이름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북쪽으로 통도사가 가까우며 남으로는 내원사가 가까이 있다. 순흥 안씨와 경주 김씨 등이 가장 많다. 약 45호 정도에 100여명이 산다. 비닐하우스 농사로 오이나 토마토를 많이 재배하며 콩 등의 잡곡도 조금 생산한다.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 12시가 넘어서 당산제를 지내고 있으며 예전에 행해지던 여러가지 민속놀이는 전혀 행해지지 않고 있으며, 평산마을처럼 불교도가 대부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6년 1월 7일에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 하북면 답곡리 성천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선수가 참여하였다. 각설이타령의 일반적인 숫자풀이에 천주교의 교리를 실은 독특한 곡이다. |
가사 | 일자 한 자를 들구 보니 일구야 월심 원한 마음
천당 진복이1) 제일이고 품바품바 들어간다 이자라 한 자를 들고 보니 이천년 전 예수님이 만민의 영혼을 구하셨네 품바품바 들어간다 삼자 한 자를 들고 보니 삼위일체 도리를 배워 삼구진장에2) 나가 보세 품바품바 들어간다 사자 한 자를 들고 보니 사사생경을3) 잘 외어서 성교사구을4) 묵상하고 품바품바 들어간다 오자 한 자를 들고보니 오 주 예수 못 박히고 칙게 선전을5) 들어 간다 품바품바 들어간다 육자 한 자를 들고 보니 육푼 천신이6) 마귀가 되어 극락길을 방해하네 품바품바 들어간다 칠자 한 자를 들고 보니 칠십에 난 구노인이 조망신공을7) 잘 외워서 센교칠구를8) 구하셨네 품바품바 들어간다 팔자 한 자를 들고 보니 팔십에 난 구노인이 극락길을 찾어간다 품바품바 들어간다 구자 한 자를 들고 보니 구푼 천신이9) 마귀가 되어 극락길을 방해하네 품바품바 들어간다 십자 한 자를 들고 보니 십자가에 못박히신 오 주 예수를 생각하야 천주 십계를10) 묵상하고 품바품바 들어간다 신덕으로11) 배를 모어 애덕으로12) 돛을 달아 망덕으로13) 노를 저어 호수 천신14) 운전하야 극락길을 들어간다 품바 품바 들어간다15) 1) 천당 진복(天堂眞福) : 천당의 참된 복. 2) 삼구진장 : 삼구전쟁(三仇戰爭)의 잘못인 듯. 삼구는 천주교에서 말하는 것으로 선행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세 가지 원수. 곧 육신, 세속, 마귀 등을 말함. 이들과의 싸움에 이겨야 올바른 선행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세 가지 원수. 곧 육신, 세속, 마귀 등을 말함. 이들과의 싸움에 이겨야 올바른 선행을 이룰 수 있다고 함. 3) 사사생경 : 사도신경(使徒信經)의 잘못인 듯. 4) 성교사구 → 성교사규(聖敎四規) : 천주교회의 네 가지 법칙. 첫째 주일을 지켜 미사에 참예하는 일과, 둘째 지정한 날에 만 21세부터 59세까지의 신자가 아침을 먹지 아니하는 대제(大齊)와 매주 금요일과 사계(四季)의 수요일에만 일곱살부터 죽을 때까지 육식을 하지 않는 소제(小齊)를 지키는 일과, 셋째 적어도 일년에 한번은 고해(告解)해야 하는 일과, 넷째 매월 부활 침례 전후에 적어도 한 번은 성체를 받아야 하는 일. 5) 칙게 선전 : 뜻 모름. 6) 육푼 천신 : 육품 천신(六品天神)인 듯. 천신은 천사의 예스런 표현. 육품 천신은 여섯 등급의 천사를 이름인 듯. 7) 조망신공 : 조만신공(早晩神功)의 잘못. 조만은 조과(早課)와 만과(晩課)로서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를 이름. 신공은 기도와 선공(善功). 8) 센교칠구 : 뜻 모름. 9) 구푼 천신 : 구품 천신(九品天神)의 잘못. 구품 천신은 상,중,하 세 급으로 나누고, 각 부를 다시 삼품씩으로 나눈 천주교의 아홉 계급의 천신. 10) 천주 십계(天主十戒) : 십계명(十誡命). 11) 신덕(信德) : 믿음. 12) 애덕(愛德) : 사랑. 13) 망덕(望德) : 소망(所望). 14) 호수 천신(護守天神) : 온 세상 사람을 착한 길로 이끌어서 보호하는 천신. 15) 다 부른 뒤에 칠자 ∼를 다시 고쳐 부름. 칠자 한 자를 들고 보니 칠십구회 치명복자 칠구에 칠략을 행하셨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