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무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광업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산시 중구 반구1동의 풀무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남도편은 CD 8장, 155곡으로 구성되며, 1994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허경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허경태 |
지역개관 |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 반구1동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었던 이응춘이 이 곳에 정자를 세워 그 이름을 반구정이라 해서 내려오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반구리로 되었다. 반구동은 4개의 자연부락인 반구정과 서원, 그리고 내황과 구교동으로 형성되었다. 인구는 2만 3846명이며 가구수는 7179가구이다. 동족으로는 동천강이 흐르고 서쪽으로는 구시가지 학성동 학성공원이 있고 남쪽으로는 태화강이 흐르고 북쪽으로는 중구청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6월 2일에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 반구1동에서 채집한 풀무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경태가 참여하였다. 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하여 쇠의 원석을 달구거나 녹이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쇠부리노래라고 한다. 풀무질은 8명이 한 조가 되어 했다고 한다. 가사의 내용은 불매의 역사와 쇠의 역사, 그리고 풀무질을 열심히 하여 농기구를 만들어서 농사를 열심히 지어 집안의 평안과 나라의 태평을 이루겠다고 하는 것이다. |
가사 | 어허여루 불매야
어허루 불매야 불매 부는 여러분들 어허루 불매야 불매 내력이나 알고나 부나 어허루 불매야 옛날에 시원선생 어허루 불매야 조작으로 만든 불매 어허루 불매야 불매는 있건마는 어허루 불매야 시원선생 어데 갔나 어허루 불매야 태고때 시절이 언제라꼬 어허루 불매야 시원선생이 있을소냐 어허루 불매야 잘도 분다 불매야 어허루 불매야 이 불매 이름이 무엇인고 어허루 불매야 울산에 도불매 어허루 불매야 쇠는 어드메 쇠고 어허루 불매야 달래골에 토철이라 어허루 불매야 우리 조선 현종 때에 어허루 불매야 구충당에 일월선생1) 어허루 불매야 십년 세월 쇠를 찾어 어허루 불매야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어허루 불매야 헤매다가 찾았다네 어허루 불매야 찾고 보니 달래골 어허루 불매야 이 쇠 녹혀 솥 만들고 어허루 불매야 또한 녹혀 쟁기 떠서 어허루 불매야 농사 짓고 부모 봉양 어허루 불매야 숱트는 어드메 숯이고 어허루 불매야 도독골의 참숯이다 어허루 불매야 톱으로 비고 도치로 쳐서 어허루 불매야 정성들여 꿉었다네 어허루 불매야 “여어 선거리 내고 후거리 올라오고 ” 어허루 불매야 어허루 불매야 무릉산에 산신령님 어허루 불매야 용당골에 용왕님요 어허루 불매야 이 쇠부리 잘도 되면 어허루 불매야 반달겉은 논배미 사고 어허루 불매야 장가도 가고지고 어허루 불매야 도편수 거동 보소 어허루 불매야 부지깽이 거머쥐고 어허루 불매야 갈팡질팡하는구나 어허루 불매야 국태는 민안하고 어허루 불매야 시화는 연풍하니 어허루 불매야 아니 놀고 무엇하나 어허루 불매야 산지조종은 곤룡산이요 어허루 불매야 수지조종은 황하수요 어허루 불매야 불매 조종은 도불매 어허루 불매야 천정세월 인정수요 어허루 불매야 천만대군 복만간데 어허루 불매야 배고프면 밥을 먹고 어허루 불매야 목마르면 술 마시고 어허루 불매야 일심동력 불어 주소 어허루 불매야 쿵적쿵적 불어 주소 어허루 불매야 1) 구충당에 일월 선생→구충당 이의집선생(求忠堂 李義立 先生);조선 인조 때의 무관. 경상좌도수군절 (慶尙左道水軍節度使)를 지냄. |